잠들기 전 SNS를 사용하는 습관이 숙면을 방해한다는 사실은 익히 알려져 있지만, 시간과 상관없이 SNS를 사용하는 것 자체로도 밤잠을 설칠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미국 피츠버그의과대학 연구진은 2014년 한해동안 19~32세 17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지에는 하루동안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SNS를 몇 분 정도 사용하는지, 일주일 동안 몇 차례 이상 해당 SNS에 몇 차례 접속하는지 등의 질문 및 수면시간, 수면의 질 등과 관련한 질문을 포함했다.
설문지의 정보를 분석한 결과, 설문 참가자들의 하루 평균 SNS 사용시간은 61분에 달하며 일주일 동안 방문하는 SNS 사이트의 수는 30개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설문 참가자들 중 30%는 심각한 수준의 수면 장애를 앓고 있었는데, SNS에 사진을 올리고 다른 사람의 타임라인을 관찰하고 자신의 계정에 글을 올리는 등의 활발한 활동으로 시간을 더욱 많이 투자하는 사람일수록 수면 장애의 위험이 더욱 커졌으며, 심한 경우 SNS 활동량이 가장 적은 사람에 비해 수면 장애 위험이 두 배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뿐만 아니라 주말이 아닌 주중에 규칙적으로 SNS를 사용하는 사람은 불규칙적으로 가끔 확인하는 사람에 비해 수면 장애의 위험이 최대 세 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SNS를 사용하면서 보는 게시물들의 사진이나 스마트폰의 화면이 시각적으로 지나친 자극을 주면서 수면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했다.
이번 연구는 잠들기 전 SNS를 사용하는 것이 수면을 방해한다는 기존 연구에서 더 나아가, 하루동안 시간대에 구애받지 않고 SNS를 사용하는 것 자체가 수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처음 증명한 것이다.
연구를 이끈 피츠버그의과대학의 제시카 C. 리벤슨 박사는 “SNS의 사용 빈도에 따라 수면장애의 위험을 예측할 수 있으며, 강박적으로 SNS를 확인하고 사용하는 습관이 있는지 스스로 확인하고 제어하는 것이 수면장애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게시물을 올리거나 좋아요를 누르는 등의 직접적인 활동이 없이 그저 SNS 게시물을 훑어보는 작업만으로도 수면 장애가 유발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진은 시각적인 자극 외에도 SNS가 수면장애를 유발하는 더욱 정확한 원인을 찾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인 ‘예방 의학 저널‘(The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최신호에 실렸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