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수도 베이징은 서울보다 약 2.7배 더 크다. 하지만 버스와 지하철로 촘촘하게 연결돼 있어 이동하는데 큰 불편함이 없다.
더욱이 대중교통 요금이 매우 저렴하기 때문에 금전적인 부담없이 도심 곳곳을 누비기에 최적화된 도시다.
‘이카통(一卡通)’이라고 불리는 대중교통카드를 구매, 충전해서 이용할 경우 버스는 기본 13정거장까지 4마오(약 80원)의 요금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버스와 지하철 환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교통카드가 없을 경우, 버스는 2위안(약 360원), 지하철은 3위안(약 540원)의 기본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단, 거리가 멀어질수록 추가 요금이 부과되는 방식이며, 지하철의 경우 6정거장까지는 추가 요금 없이 이동할 수 있다.
지하철의 종점에서 종점까지 최대 가장 긴 거리를 이동할 경우에도 최대 5위안(약 900원)의 요금 적용이 상한선이다.
이와 함께 65세 이상 노인은 신분증 지참 시 무료로 탑승할 수 있고, 학생, 장애인, 군인의 경우에는 ‘우혜 정책’을 통해 요금할인을 적용받을 수 있다. 또, 대중교통을 이용해 통근하는 직장인을 위해 출퇴근 시간대에는 50% 할인된 요금이 지원된다.
눈에 띄는 것은 중국의 수도 베이징의 대중교통 요금의 변화 양상이다. 베이징 시는 지난 2007년부터 대중교통요금을 저가로 제공하기 위한 대규모 보조금제도를 시행해왔다. 2010년 128억위안(약 2조 3459억원), 2011년 157억위안(약 2조 8775억원), 2012년 175억위안(약 3조 2074억원) 등 매년 시에서 지원하는 보조금은 가파른 상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이는 대중교통이 가진 공공성에 대해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수적이라는 방침 덕분이다.
더 놀라운 것은 1971년 베이징에 설치되기 시작한 이후, 대중교통의 요금은 1999년 기준 기본 3위안(약 540원)이었던 것이 18년이 지난 현재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다는 점이다.
한편, 지난달 발표된 2015년 서울의 대중교통 이용자 수가 8년 만에 감소했다는 소식이 떠오르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서울시는 그 원인으로 지난해 버스, 지하철 요금이 각각 200원씩 인상됐으며, ‘메르스 사태'까지 발생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더욱이, 매년 분기마다 각 지방자치단체와 정부의 대중교통인상을 놓고 벌이는 ‘설왕설래(說往說來)’의 기억 탓에, 베이징 시민들이 누리고 있는 저가의 요금정책에 대한 부러움이 배가 되는 시점이다.
글·사진 임지연 베이징(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