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 임금을 더욱 높이고 싶고, 승진하고 싶은가. 고민할 것 없다. 바로 신뢰를 심어주는 것이다. 신뢰를 심어주는 방법 역시 그리 어렵지 않다. 그 비법은 바로 식사 때 회사 상사와 같은 음식을 주문하는 것이다.
미국 시카고대 연구팀은 우리가 관리자들 혹은, 심지어 전혀 모르는 사람들일지라도 같은 음식을 선택하면 그들로부터 즉시 신뢰를 얻을 가능성이 훨씬 크다는 것을 발견했다.
일련의 실험 동안, 급여와 근로환경에 관한 논의에서 노사 양측이 같은 음식을 선택해 먹으면 훨씬 더 성공적인 합의가 이뤄졌다는 것이다.
또한 TV 광고에서 누군가가 시청자와 비슷한 음식을 먹고 있으면 그 음식을 구매할 가능성이 훨씬 더 컸다고 한다.
이런 이유는 이른바 ‘유사성 유인 이론’(Similarity Attraction Theory)으로 불리는 현상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는 사람들이 자신과 비슷한 취미나 습관을 지닌 사람들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현상을 말한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이런 관계에서 음식의 역할을 강조하는 최초의 연구 중 하나로 여겨진다.
연구팀은 누군가에게 신뢰를 얻는 데 음식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내기 위한 일련의 실험을 진행했다.
첫 번째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각각 관리자나 노조간부을 맡아 임금 협상에 도달하고 파업을 중단하기 위한 역할극을 했다.
각 참가자는 노사 양측이 임금 합의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 등 몇 가지 사항에 따라 점수를 획득했다.
이때 참가자들은 모두 간식으로 초콜릿바나 감자칩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다.
그 결과, 양측이 같은 간식을 선택했을 때 합의에 도달하는 시간이 더 빠른 등 더 많은 점수를 획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우리는 협상가들이 비슷한 음식을 소비했을 때 서로 더욱 가깝게 느꼈고 양측에게 이로운 가장 빠른 합의에 도달할 수 있었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이어진 시험에서는 참가자들에게 TV 광고를 보여주고 광고에 등장하는 누군가가 일반인인 척하며 특정 제품을 지지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이때 참가자들은 초콜릿바를 받아 조금씩 먹었는데 TV 속 연기자는 초콜릿바나 포도를 먹으며 말했다.
그 결과, 시청자들은 TV 광고에서 연기자가 같은 식품을 먹으면 그 식품을 구매하기 위한 관심이 훨씬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식품 소비의 유사성이 두 사람이 잘 어울릴 수 있는 것을 보여준 것은 아니지만, 우리는 소비자들이 이런 상황에서도 유사성 유인 이론과 같은 방식으로 대한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또한 “그들은 자신처럼 먹는 사람들에게 더 큰 신뢰감을 느꼈다”면서 “이는 사람들이 즉시 동지애를 느끼고 유대관계를 발전하기 시작해 이로부터 순조로운 거래가 이어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에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연구논문을 분석한 영국 심리학자 루시 애치슨 박사는 “비슷한 옷을 입는 것이 즉시 신뢰를 일깨우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었지만 음식이 같은 영향을 가졌다는 보고는 처음이다”고 말했다.
이어 “이 연구는 정말 흥미진진하다. 사람들이 공통점을 가진 다른 사람을 신뢰할 수 있다는 것은 일리가 있다”면서 “이는 협상이 성공할 가능성이 더 크다는 말이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소비자 심리학 저널’(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최신호에 실렸다.
사진=ⓒ포토리아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