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중년 이상의 환자 수천 명이 받고 있는 무릎 관절경 수술이 시간 낭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관절경 수술은 무릎 관절 연골의 안팎에 각각 하나씩 존재하는 반달 모양의 연골 보호팍 반월상 연골판의 손상을 키홀 수술로 복원하는 가장 흔한 수술 중 하나다. 키홀 수술은 미세한 절개부에 기구를 삽입해 모니터 화면을 보고 시행하는 수술을 말한다.
그런데 노르웨이 오슬로 대학병원과 덴마크 남부대학 국제 연구팀의 최신 연구에 따르면, 관절경 수술이 간단하게 운동을 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절경 수술은 수술 시간이 대개 1시간 미만이고 당일 퇴원이 가능할 정도로 간단한 수술이어서 이를 선택하는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12주간 노르웨이에서 관절경 수술을 받은 환자들과 간단한 근육강화 운동 프로그램을 수행한 비수술 환자들을 비교했다.
그 결과, 운동을 통해 수술 없이 무릎 주위의 근육을 강화시킨 것만으로 관절의 지지를 돕고 통증이 완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두 집단 사이에 임상적으로 관련이 있는 차이점은 없다고 결론지었다.
이 실험에는 환자 총 140명이 참가했으며, 3개월 뒤 평가에서는 비수술 집단이 실제로 더 나은 효과를 봤다. 이후 2년 뒤 재검사에서는 이들 사이에 약간의 차이만 있었다.
특히 두 집단은 통증이 있을 때 이동성이나 운동할 수 있는 능력에서는 같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운동 집단에 속했던 환자 5명 중 1명이 이후 수술을 받았지만 추가적인 혜택은 보지 못했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통제된 운동요법은 적어도 단기적으로 허벅지 근육 강도를 향상해 수술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줬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영국의학저널(British Medical Journal) 최신호에 실렸다.
사진=ⓒ포토리아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