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조금씩이라도 책을 꾸준히 보면 수명이 2년 더 늘어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예일대학 연구팀은 '12년에 걸쳐 데이터 조사 및 추적조사 결과, 책을 꾸준히 읽어온 사람들은 책을 읽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20% 이상 사망위험이 줄어들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는 연구 내용을 최근 전문연구저널 '소셜사이언스&메디슨'에 발표했다.
미국 워싱턴포스트는 지난 10일(현지시간) 이같은 내용을 전하면서 최근 미국인들의 독서량이 이집트, 호주, 터키 등에 뒤지는 23위라는 사실을 함께 보도했다.
이번 연구는 50세 이상의 3635명을 대상으로 조사됐다. 피실험자들은 책을 전혀 읽지 않는 집단, 일주일에 3.5시간 정도 읽는 집단, 그 이상 책을 읽는 집단 등 세 개로 나뉘었다.
그 결과, 책을 전혀 읽지 않는 사람들의 집단에 비해 책을 읽는 사람들의 집단은 2년 가까이 수명이 길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교육수준, 소득의 차이, 건강상태 등 다양한 요인들도 있겠지만 독서가 건강과 수명에 주는 영향에 대해 보여주는 결과인 만큼 의미있는 해석이 가능하다. 즉, 운동, 다이어트, 식이요법 등처럼 독서도 건강과 수명에 직접적 영향을 줌을 뜻한다.
특히 이번 연구 결과는 올초 국내에서 조사 발표했던 연평균 성인 독서량 9권, 하루 평균 독서시간 22분(평일기준) 등을 감안하면 우리 사회에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연구에 따르면 일주일 3.5시간 책을 읽는 사람들은 전혀 읽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23%이상 사망위험이 줄어들었고, 3.5시간 이내로 읽는 사람들은 17% 정도 사망위험이 줄어들었다.
물론 데이터조사인 만큼 독서와 수명 연장 사이의 과학적 요인이 명확히 밝혀진 것은 아니다.
다만 최근 '소설을 읽으면 뇌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다른 연구에서 밝혀진 것과 일정 정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워싱턴포스트는 이번 연구에서 조사한 독서의 범위에는 신문읽기가 포함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박성국 기자 ps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