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는 부모와 떨어지게 되면 스트레스를 받는다. 심지어 어떤 아이는 심한 두려움에 떨기도 한다. 그런데 오늘날의 디지털 세대는 자신의 스마트폰과 떨어져 있을 때 이와 비슷한 감정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과학자들이 발견했다.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 20일자 보도에 따르면, 헝가리 과학원과 에오트보스 로란드대 공동 연구진은 18~26세 스마트폰 보유자 87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일련의 실험을 진행했다.
우선 참가자들은 손목에 심박수 측정 장치를 달고 노트북이 놓인 책상과 의자, 신문, 인형 등 일상적 물건이 있는 방에 들어갔다. 거기서 ‘계산기가 필요하지만 간단한 수학 문제’를 푸는 검사를 받았다. 이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자신의 스마트폰을 사용해 계산할 수 있었다.
그리고 다음번 실험에서도 마찬가지로 ‘계산기가 필요하지만 간단한 수학 문제’를 받았다. 하지만 이때 참가자들 모두 자신의 스마트폰을 꺼야 했다. 이중 절반은 스마트폰을 자신의 눈에 보이는 가까운 곳에 뒀으며, 나머지 절반은 방 한쪽에 있는 찬장 안에 넣어야 했다. 그리고 이들은 자신의 것이 아닌 다른 스마트폰이나 일반 계산기를 받아 문제를 풀었다.
모든 검사가 끝난 뒤 참가자들에게는 휴식 시간으로 2~3분 정도를 줬다. 그리고 이때 참가자들의 행동은 비밀리에 촬영했다. 그다음으로는 모든 참가자에게 스마트폰에 애착이 얼마나 있는지 등을 물었다.
분석 결과, 자신의 스마트폰을 반납한 뒤 계산기를 받은 참가자들은 종종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트라우마)와 관련이 있는 심장박동 패턴을 나타낼 가능성이 컸다. 이중 75%는 스트레스의 명백한 징후인 꼼지락거리거나 긁적이는 등 전위 행동을 보였다. 심지어 자신의 스마트폰을 찬장에 두고 계산기를 사용했던 참가자 중 20%는 견디지 못하고 자기 스마트폰을 확인했다.
하지만 자신의 것이 아닌 다른 스마트폰을 받았던 참가자들에서는 이런 영향이 중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설문 조사가 끝날 때까지 스마트폰의 위치를 실험 상태 그대로 유지하도록 허용한 참가자의 비율에서도 차이가 났다.
자신과 가까운 곳에 스마트폰을 둔 그룹은 47%만 현재 상태를 유지했고, 찬장에 스마트폰을 둔 그룹은 0%에 불과했다. 즉, 자신의 눈앞에 스마트폰을 둔 사람들이 자기 스마트폰을 회수한 비율은 53%였고,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 스마트폰을 둔 사람들의 회수율은 100%였다는 것.
실험 이후 설문 응답지에서는 스마트폰이 사람들의 긴장감을 완화하며 자신감이나 안정감을 준다는 증거도 드러났다.
연구진은 이번 논문에서 “우리는 스마트폰의 세상에서 태어난 아이들이 사는 초기 디지털 문화의 한가운데에 서 있다”면서 “이 또래의 참가자들은 스마트폰이 익숙한 것으로 여겨져 선택됐다”고 말했다.
현재 지구상에는 사람들보다 더 많은 스마트폰 이용 계정이 활성화돼 있다. 그리고 특히 아이들은 자신의 스마트폰에 더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연구를 검토한 런던 ‘시티 사이콜로지 그룹’의 임상시험 담당자 마이클 싱클레어 박사는 “젊은 사람들은 스마트폰이 없는 경우가 거의 없어 거기에 믿기 어려울 만큼 의존할 수 있다”면서 “한때 사람들은 편안함과 안도감, 정보, 그리고 방향을 찾기 위해 나이 든 사람들에게 의지했지만 이제는 스마트폰을 통해 그런 많은 것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술은 훌륭하지만 양날의 검이다. 이런 모든 것은 스마트폰에서 더 쉽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은 더 많이 의존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인간 행동과 컴퓨터’(Computers in Human Behaviour) 최신호에 실렸다.
사진=ⓒ포토리아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