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희들이 운서(韻書)가 무엇인지나 아느냐? 도대체 사성(四聲)이나 칠음(七音)의 자모가 몇 개인지나 아느냐? 이것을 만약 내가 바로잡아놓지 않으면 누가 있어 바로잡아 놓겠는가.”
세종 26년 2월 20일, 세종실록의 기록이다. 세종(재위 1418~1450)은 집현전의 수장이었던 부제학 최만리(崔萬理 ?∼1445)보다 학문의 깊이에서도 한 수 위였음은 분명해 보인다.
모화사상(慕華思想)에 빠져있던 당대 여느 사대부들과 마찬가지로 최만리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 그들에게는 새로이 문자를 만드는 것은 ‘죽어서도 공자님의 얼굴을 뵙지 못하는’ 불경한 일이었고, 세상을 뒤엎는 일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446년 음력 9월 상순에 훈민정음은 반포된다. 조선의 글자가 만들어졌다. 국립 한글박물관으로 가 보자.
현재 10월 9일로 제정된 한글날의 원래 이름은 ‘가갸날’이었다. 1926년 한글학회의 전신이었던 조선어연구회와 신민사가 음력 9월 29일을 제 1회 ‘가갸날’로 정해 첫 행사를 가진다.
하지만 정확한 한글창제 시기를 몰랐던 탓에 한글날은 1934년부터는 10월 28일로 다시 날짜를 바꾸게 된다. 그러다 현재 간송미술관에 소장중인 국보 70호, 훈민정음 해례본이 1940년 안동 와룡에서 발견되면서 한글 창제시기에 대한 논란은 한 번에 정리되었다.
현재 용산에 위치한 국립한글박물관은 사실 역사는 그리 오래되지는 않았다. 2014년 10월 9일에 개관한 국립한글박물관은 사라져가는 한글 자료를 수집 보관하고, 한글문화를 국민과 소통함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우선 건축물 자체부터 특징적이다. 한글 모음의 제자 원리인 천지인을 형상화하여 하늘의 켜, 사람의 켜, 땅의 켜를 켜켜이 쌓아올린 공간에 소통의 매개체인 한글을 담고, 한국 전통 가옥의 처마와 단청의 멋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였다고 한다.
또한 모든 출입구가 차도와 완전히 분리된 독립적 공간이며, 외부 전체 구간에 높낮이 차이가 없어 관람객들의 움직임이 편리하다. 바로 이런 점때문에 막상 박물관 내부에 들어서는 방문객들은 아늑한 느낌을 가질 수 있다.
국립한글박물관은 지하 1층, 지상 4층의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중 지상 1층에는 한글도서관과 수장고가, 지상 2층과 3층에 상설전시실, 기획전시실, 한글놀이터 등이 있어 관람객들은 주로 2층과 3층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다.
항상 박물관 내에서는 기획 전시 및 상설 전시가 준비되어 있기에 볼거리가 풍부하다. 또한 어린이 놀이 시설이 잘 구비되어 있어 자녀와 함께 맘껏 하루를 보낼 수 있는 서울의 몇 안 되는, 부모님이 더 편한(?) 가족 휴식 공간이기도 하다.
<국립한글박물관에 대한 여행 10문답>
1. 꼭 가봐야 할 정도로 중요한 여행지야?
-꼭 가보길 권한다. 특히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어린 자녀가 있다면 더더욱.
2. 누구와 함께?
- 한글 놀이터 및 배움터 시설이 아주 훌륭해서 가족 동반 나들이 장소로도 훌륭하다.
3. 가는 방법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대중교통이 가장 편하다. 4호선 이촌역 2번 출구 왼쪽 방향의 ‘박물관 나들길’ 이용 → 우측 방향으로 400m 직진
4. 감탄하는 점은?
- 한글의 위대함. 다시 한 번 깨닫게 되는 세종대왕의 힘.
5. 명성과 내실 관계는?
- 국립중앙박물관과 이웃해 있어 평일에는 생각보다는 관람객들이 많지 않다.
6. 꼭 봐야할 장소는?
- 기획 전시실. 매 분기마다 귀한 자료들이 전시된다.
7. 먹거리 추천?
-인근에 이태원이나 경리단길에 훌륭한 식당들이 많다.
8. 홈페이지 주소는?
- www.hangeul.go.kr/main.do
9. 주변에 더 볼거리는?
-이태원 거리, 국립중앙박물관
10. 총평 및 당부사항
- 국립한글박물관은 우리 민족의 얼과 혼이 담긴 공간이다. 한 번쯤은 방문하여 우리가 쓰고 있는 문자의 우수성을 몸으로 느끼는 계기가 되면 좋을 듯 하다.
글·사진 윤경민 여행전문 프리랜서 기자 vieniame2017@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