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릴 새우(Krill)는 평균 길이 1-2cm 정도의 작은 갑각류로 남극 바다의 먹이 사슬의 토대를 이루는 생물체다. 지구 역사상 가장 거대한 생물인 대왕고래부터 작은 물고기까지 이 크릴 새우를 주식으로 삼을 만큼 크릴 새우의 양은 엄청나다.
과학자들은 크릴 새우의 대표종인 남극 크릴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의 생물량이 4억 톤에 달한다고 추정한다. 사실상 남극 해양 생태계를 지탱하는 먹거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참고로 크릴 새우라고 하지만, 사실 새우처럼 십각목이 아니라 난바다곤쟁이목(Euphausiacea)에 속하는 갑각류로 엄밀하게 말하면 새우는 아니다.
최근 영국 남극 세베이 (BAS, British Antarctic Survey)의 과학자들은 이 크릴이 예상하지 않았던 역할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크릴 군집의 이동을 2000회 정도 조사하는 과정에서 이들이 막대한 양의 유기물을 깊은 바다로 침전시키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크릴은 얕은 바다에서 작은 플랑크톤을 잡아먹은 후 무거워지면 깊은 바다로 피신해 포식자를 피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막대한 양의 유기물을 깊은 바다로 이동시키게 된다. 크릴의 배설물이 얕은 바다의 유기물을 깊은 바다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이 된다.
연구팀은 이 과정에서 크릴이 침전시키는 탄소의 양이 연간 2300만 톤에 달한다고 추정했다. 이렇게 바다 밑바닥에 쌓인 유기물은 퇴적층을 이뤄 탄소를 지각에 고정하거나 일부는 오랜 세월이 흐른 후 천연가스나 석유 형태로 변형된다. 화산 활동 등으로 지구 지각에서 대기로 공급된 이산화탄소가 바다를 통해서 다시 지각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크릴은 나름의 방식으로 지구 탄소 순환에 기여하는 셈이다.
크릴은 현재까지 워낙 숫자가 많아 특별히 보호가 필요하지는 않지만, 기후 변화를 포함한 급격한 환경 변화에서 자유로운 생물체는 아니다. 차가운 바다에서 적응한 크릴에게 수온 상승은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현재의 온난화 추세가 지속되면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가라앉히는 크릴의 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는 자연의 탄소 순환을 막아 이산화탄소 농도를 더 높일 수 있다. 지구 생태계는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모두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언뜻 생각하기에 우리와 거의 연관이 없어 보이는 크릴 역시 예외는 아닌 셈이다.
고든 정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