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 과학

“SNS는 의도적으로 사용자를 중독 상태로 만든다”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 “SNS는 의도적으로 사용자를 중독 상태로 만든다”


소셜미디어(SNS) 회사들이 수익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들을 중독 상태로 만들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영국 BBC 탐사보도 프로그램 ‘파노라마’는 4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 관계자들이 위와 같이 증언했다고 밝혔다.

오늘날 대부분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앱)에서 사용되는 ‘무한 스크롤’ 기능을 개발한 기술자 아자 라스킨은 BBC 파노라마에 “소셜미디어 중독은 마치 코카인을 당신 인터페이스에 뿌리는 것과 같다”면서 “스마트폰 화면의 모든 인터페이스는 수많은 기술자들이 사용자들에게 편의라는 명목 아래 중독되게 하려고 애쓰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확대보기
▲ 아자 라스킨.


라스킨이 개발한 무한 스크롤은 이름 그대로 콘텐츠를 클릭 없이 끊임없이 스크롤 해서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는 이 기술이 사용자들에게 필요 이상으로 스마트폰 화면을 보게 했다고 인정했다. 그는 사용자들을 중독 상태에 빠지게 하려고 이 기술을 개발한 것은 아니었지만, 지금은 죄책감을 느끼고 있다고 털어놨다.

하지만 그는 여전히 많은 기술자가 자신들을 고용한 대기업의 비스니스 모델에 의해 중독성 강한 앱 기능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확대보기
▲ 샌디 파라킬라스.


페이스북 사원이었던 샌디 파라킬라스는 2012년 회사를 그만 둔 뒤 페이스북을 끊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고 밝혔다. 그는 “소셜미디어는 슬롯머신과 매우 비슷하다”면서 “정말 담배를 끊는 기분과 비슷했다”고 회상했다.


또 그는 페이스북에서 근무한 1년5개월 동안 동료들 역시 페이스북의 중독성을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사용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고안한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사용자가 가능한 한 많은 시간을 허비하게 하고 그 관심을 광고주들에게 돌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페이스북 측은 BBC 파노라마에 “사람들이 친구와 가족, 그리고 관심사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설계했을 뿐”이라면서 “중독성을 부여하는 요소는 어떤 과정에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소셜미디어가 사람들에게 가장 매력적으로 작용하는 요인 중 하나는 바로 ‘좋아요’ 같은 반응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확대보기
▲ 레아 펄먼.


페이스북의 ‘좋아요’ 버튼을 공동 개발한 레아 퍼먼은 사람들이 페이스북에 빠지는 이유로 ‘좋아요’ 수가 자기 가치에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그녀 역시 2010년 페이스북을 퇴사한 뒤 앱 사용을 그만두는 것을 시도했다. 그녀는 “이전과 같은 것을 게시해도 ‘좋아요’ 수가 이전보다 훨씬 줄어든 것을 깨달았다”면서 “그때 내가 주위 반응(피드백)에 중독됐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이미 여러 연구에서는 우울증과 외로움을 비롯한 여러 정신적인 문제와 소셜미디어의 과잉 사용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 있다. 영국에서는 청소년들이 스마트폰을 쓰는 시간은 일주일에 평균 약 18시간으로, 대부분이 소셜미디어다.

이에 대해 펄먼은 소셜미디어 때문에 문제가 생겼다고 생각하는 젊은이들은 사용 중단을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페이스북을 떠난 공동 창업자 숀 파커 역시 지난해 페이스북은 처음부터 사용 시간을 최대한 많이 획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페이스북이 인간의 심리적인 약점을 이용했으며 투자가들은 이를 잘 알고 있었고 우리도 그러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펄먼은 ‘좋아요’ 버튼 개발 당시 “중독성을 갖게 할 의도는 없었다”면서 “게다가 소셜미디어는 많은 사람에게 많은 혜택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숀 파커의 주장에 대해서는 이메이 아치봉 페이스북 부사장이 “현재 제삼자 입장에 있는 사람들과 협력해 플랫폼에 중독성 요소가 있는지 조사를 통해 확인 중”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페이스북은 자사 플랫폼에서 사용자에게 주간 사용 시간을 표시해주고 하루 단위 사용 시간을 제한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트위터는 중독성 주장에 대해 언급을 거부했다. 스냅챗은 중독을 위해 시각적 기술은 사용하지 않았다고 부정하면서도 무의미하게 사용을 늘릴 생각은 없다고 덧붙였다.

사진=BBC 방송 캡처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男 8명이 남편 앞에서 아내 집단 강간…신혼부부에게 벌어진
  • ‘회사 내 성관계’ 동영상 수백개 유출…결국 정부가 나섰다
  • (속보)충격적 팀킬…“북한군, 전투서 러시아군 향해 총격”
  • 북한군 파병 진짜 이유?…“러軍 하루 평균 사상자 1500명
  • 사망한 시신 옮기다 어머니라는 걸 알게 된 구급대원…당시 상
  • 이란 대학 캠퍼스서 “속옷 시위” 벌인 여대생 체포
  • 세계서 가장 큰 뱀은 무엇? 길이·무게로 나눠 보니…
  • 5년 후 지구로 돌진하는 소행성 ‘아포피스’…지구 중력에 산
  • 목에 낫 꽂힌 ‘뱀파이어 유골’ 정체 밝혀졌다…생전 모습 복
  • 이집트 피라미드 꼭대기서 발견된 미스터리 ‘개’…정체 밝혀졌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