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사하라 사막의 면적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해외 연구진이 사하라 사막이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기상현상을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사하라 사막은 1923년 이래 약 100년 동안 10% 이상 넓어졌으며, 현재 면적은 약 980만㎢로 미국 크기만 하다.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 연구진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위성 이미지와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사하라 사막이 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예측했다.
사하라 사막에서 불어오는 모래먼지에는 모래와 각종 미네랄 물질이 포함돼 있으며, 바람을 타고 대서양과 멕시코만 등 인근 지역의 대기를 수시로 덮는다.
연구진에 따르면 이렇게 모래와 유기물질을 가득 담고 있는 먼지가 공기를 타고 이동할 경우, 사막 먼지에 휩싸인 지역의 기온이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이것이 폭풍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구름이 만들어지는 것을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즉 대기에 모래 먼지가 많은 지역일수록 허리케인과 같은 폭풍이 더 적게 발생할 수 있다는 뜻이다.
연구진은 “사하라 모래 먼지는 태양빛이 지상에 닿기 전 빛을 흡수하거나 반사한다. 따라서 지구 표면에 닿는 빛의 양을 줄이는 동시에 기온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면서 “폭풍은 대기나 바다의 표면 온도가 낮아질 경우 에너지를 덜 공급받게 되며, 결국 강력하지 않은 폭풍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모래 먼지는 바다 표면의 온도를 낮추고, 낮아진 바다 온도는 허리케인을 억제하는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며칠 동안 모래 먼지가 하늘을 뒤덮었다면, 그것이 구름이 생성되는 것을 명백하게 막아주면서 며칠 동안은 뭉게구름이 더 적게 관찰될 것”이라면서 “실제로 멕시코만 일대에서 관측되는 허리케인의 횟수가 줄어들었고 이는 사하라 사막 먼지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미국 메릴랜드대학 연구진은 사하라 사막의 확장에 자연적인 기후 사이클과 인간이 야기한 기후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했지만, 후자가 약 3분의 1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은 바 있다.
사하라 사막 먼지의 영향과 관련한 자세한 연구결과는 미국 기상학회가 발행하는 ‘저널 오브 클라이미트’(Journal of Climate) 최신호에 실렸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