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를 출력하는 3D 프린터는 차세대 건축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물론 현재까지 널리 사용된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기존의 방법으로 출력하기 어려웠던 복잡한 3차원 시멘트 구조물을 출력하거나 매우 저렴한 가격에 빠른 속도로 구조물을 출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아직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처럼 크고 튼튼한 건축물을 출력할 수 없다는 단점은 분명하지만, 지금 단계에서도 3D 프린터가 건축 시장에 투입될 수 있는 틈새시장은 존재합니다. 가장 기대되는 분야는 저렴하고 간단한 주택이나 건물을 출력하는 것입니다.
이런 목적으로 설립된 스타트업이 이탈리아의 WASP(World‘s Advanced Saving Project)입니다. WASP는 12m 높이의 빅 델타(Big Delta)를 선보였는데, 이 3D 프린터는 역대 가장 큰 건축용 3D 프린터였습니다. 하지만 크기보다 더 관심을 끈 부분은 이 3D 프린터의 소재와 목적입니다. 빅 델타는 시멘트가 아니라 진흙처럼 매우 저렴하고 가난한 나라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해서 소형 주택을 출력한다는 목표를 지니고 있습니다.
전 세계 인구 가운데 40억 명 정도가 연 소득 3,000달러 미만으로 살아가고 있으며 이 가운데는 판잣집이나 천막처럼 매우 열악한 주거 환경에서 사는 사람도 적지 않습니다. 번듯한 외형의 아파트나 단독 주택은 아니더라도 최소한 이보다는 더 나은 주거 환경을 이들이 감당할 수 있는 저렴한 가격에 제공한다는 것이 WASP의 목적입니다.
최근 WASP는 대략 1,000달러의 비용으로 출력할 수 있는 소형 주택의 프토로타입을 공개했습니다. 이 주택은 흙 25%, 건초 40%, 왕겨 25%, 석회 10%를 혼합한 소재를 3차원적으로 적층해 지은 것으로 면적은 20㎡에 불과합니다. 물론 기술적 검증과 비용 산출을 위한 프로토타입이며 더 큰 주택도 출력할 수 있습니다.
‘이런 약한 소재로 집을 지으면 튼튼할까?’라는 의문도 가질 수 있지만, WASP가 주택을 보급하려는 지역은 이미 이런 소재로 집을 짓는 가난한 국가입니다. 오히려 진흙을 반죽해 수작업으로 대충 쌓은 것이 아니라 3D 프린터로 내부에 격벽을 지닌 견고한 형태로 출력하므로 내구성은 물론 단열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WASP 측의 설명입니다.
출력에는 10일 정도 시간이 걸려 생각보다 작업 시간은 길지만, 비용은 1,000달러 수준으로 낮출 수 있습니다. 다만, 인건비 등이 포함되지 않은 비용입니다. 물론 외벽의 출력이 끝난 후에는 지붕, 내장재, 창문과 대문 등 필요한 나머지 부분을 별도로 달아야 합니다. 따라서 최종 비용을 원하는 수준까지 절감할 수 있을지는 좀 더 지켜봐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진흙 3D 프린팅 주택은 최신의 첨단 기술이 일부 들어가긴 하지만, 그 결과물은 첨단 제품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대신 세상에서 가장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적정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이런 시도야말로 기술을 가장 적절하게 활용해 모두를 이롭게 하는 행동일 것입니다.
고든 정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