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프리카공화국의 대학생들이 세계 최초로 사람의 소변을 이용해 벽돌을 만들어내는데 성공했다.
라이브사이언스 등 해외 언론의 25일 보도에 따르면 남아공 케이프타운대학교 학생들로 이뤄진 연구진이 개발한 것은 일명 ‘바이오 브릭’(Bio Brick)으로, 친환경적이면서도 실제 현장에서 사용 가능한 건축자재다.
연구진이 환경에 해가 되지 않는 건축자재 연구에 활용한 것은 바로 사람의 소변이다. 해당 대학교 남학생 화장실에 실험 재료로 쓸 소변을 모을 수 있는 휴대용 소변기를 설치한 뒤, 이 소변을 이용해 벽돌 제작에 나섰다.
연구진은 우선 석회가루(수산화칼슘 가루)가 가득 찬 휴대용 소변기에 소변을 모았다. 시간이 지날수록 석회가루와 섞인 소변은 자연적으로 인화칼슘을 형성한다. 석회가루와 섞이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소변 속 유해한 병원체나 박테리아가 박멸된다.
두 번째로 인화칼슘이 형성된 소변 액체는 모래 및 특별한 박테리아와 혼합한다. 이 박테리아는 소변과 반응해 탄산칼슘을 생산하며, 이는 모래를 다양한 형태로 만들고 굳히는데 도움을 준다. 이후 이 재료를 직사각형 틀에 넣고 굳히면 2~6일 사이에 바이오 벽돌이 완성된다. 이 혼합물을 오래 굳힐수록 더 단단한 벽돌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완성된 바이오 벽돌은 회색빛을 띠며 석회암 벽돌에 버금가는 단단함을 자랑한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가마에서 벽돌을 만들 시 고온으로 인해 이산화탄소가 다량 발생하는 반면, 바이오 벽돌은 고온이 필요치 않아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거의 없다.
바이오 벽돌은 제작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쓰레기로 버려지는 소변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매우 친환경적이지만, 약간의 악취가 난다는 단점이 있다.
연구진은 “바이오 벽돌 하나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소변은 25~30ℓ다. 이는 성인 한 사람이 화장실을 100번 정도 가야 모을 수 있는 양”이라면서 “제작이 끝난 바이오 벽돌에서는 애완동물의 소변 냄새가 나기도 하는데, 이는 48시간 정도가 지나면 사라진다”고 설명했다.
이어 “바이오 벽돌 프로젝트는 아직 완성단계가 아니지만, 미래의 건축현장에서 반드시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면서 “사람의 소변은 ‘액체의 금’과 같다. 인간의 소변을 수집하고 이를 이용해 지속가능한 벽돌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추가 연구 중”이라고 덧붙였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