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일반

中 지하철역에 음성 인식 자동매표기 등장한 사연은?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지난해 12월 한 중년의 중국인 여성이 상하이 지하철 역사에서 큰 소리를 치는 사건이 발생했다. 사건의 주인공으로 알려진 진 씨는 상하이 지하철 역사 입구에 배치된 자동 매표기가 자신의 요구를 이해하지 못한다는 이유에서 기계 화면 정면을 향해 고함을 친 것이다.

그는 당시 자신의 요구대로 작동하지 않는 매표기를 향해 지속적으로 “내 목적지는 동방명주다”라는 말을 되풀이한 것으로 확인됐다. 시간이 지체되는 동안에도 매표기가 무반응으로 일관하자 오히려 목소리를 높이는 등 매표기를 마치 직원처럼 나무란 진 씨의 행동은 곧장 ‘중국 따마(大妈)의 고함’이라는 지적을 받으며 온라인 상에서 화제가 됐다.

그런데 최근, 불과 몇 개월 전 논란이 됐던 진 씨 사건과 대비되는 목적지에 대한 음성 인식 기능을 갖춘 전자 매표기기가 등장해 화제다. 더욱이 진 씨 사건이 발생했던 상하이 지하철 역사에 새로운 기능을 갖춘 매표기가 설치, 일각에서는 ‘따마가 중국의 과학기술을 빠르게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됐다’는 자조의 표현이 줄을 잇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유력 언론들은 일제히 ‘상하이 따마의 노여움을 풀어 줄 신기술이 등장했다’며 해당 기기에 대한 보도를 3일 대대적으로 발표했다.

이날 언론에 공개된 음성 인식 기능을 갖춘 자동 매표기는 상하이시 지하철 역사 입구에 배치됐다. 해당 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목적지에 대해 음성으로 주문할 경우 이를 인식, 글자를 모르는 이들이나 매표 기기 작동법에 낯선 중년, 노년의 고객에게 큰 호응을 얻을 전망이다.

더욱이 해당 기기를 개발, 보급한 업체가 마윈이 이끄는 알리바바로 알려지면서 ‘마윈 빠빠(马云爸爸, 마윈 아버지)가 또 다시 해냈다’는 긍정적인 평가다.

실제로 해당 기기에는 목적지 설정 시 음성으로 인식할 수 있는 기능 외에도 인터넷 예약 시 제출한 신분증을 데이터화하는 방식으로 지하철 이용자에 대한 추가 신분증 검사 과정을 생략한 채 탑승권이 자동 발급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신분증 내의 사진과 신분증 번호 등을 데이터화, 온라인 상에서 예약 또는 탑승권을 구매한고객의 경우 지하철 역사 내 입장 시 추가 과정 없이 자동 입장이 가능하도록 한 방식이다. 뿐만 아니라 알리바바가 지원하는 즈푸바오(支付宝) 등 QR 코드 인증을 통한 모바일 결제 방식도 활용할 수 있다.

알리바바 측은 이번 음성 인식 기능을 탑재한 매표기 보급에 대해 “지난해 논란이 된 ‘따마’ 사건 당시 얼굴 인식을 통한 자동 매표 기능과 음성 인식 기능 등이 상용화를 앞두고 있던 시점”이라고 설명, “11월 현재 중국 상하이 지하철 17곳의 역사에 해당 자동 매표기를 설치, 즈푸바오를 통한 대금 지불 등을 활성화 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임지연 베이징(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추천! 인기기사
  • ‘친할아버지, 친부, 친삼촌’이 14세 소녀 강간, 임신 2
  • 회전하며 하루 8㎞ 북상…서울 6배 크기 ‘세계서 가장 큰
  • “성형수술 하느라 자리 비운 대통령, 탄핵해야”…검찰 조사
  • 도토리 먹던 다람쥐가…들쥐 사냥해 먹는 ‘육식 포식자’ 된
  • 월척인줄…필리핀 어부, 해상서 중국 것 추정 ‘수중 드론’
  • ‘어머니·여동생 4명’ 총 5명 잔혹하게 살해한 男, 아버지
  • (영상)남편이 여객기 추락 직전 아내에게 보낸 ‘마지막 인사
  • 제자리 빙빙돌던 서울 6배 크기 ‘세계서 가장 큰 빙산’ 족
  • “집단 강간당하던 10대 소년 모습 생생해”…민주화 외쳤던
  • 범행 직후 모습 공개…‘산 채로 불타는 모습’ 지켜본 뉴욕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