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에 따르면, 영국 옥스퍼드대 인류미래연구소의 닉 보스트롬 교수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대량 파괴 기술의 출현 가능성을 조사해 최신 보고서로 발표했다.
이미 인류는 핵무기와 같은 대량 파괴 기술을 만들어내긴 했지만, 이런 기술은 비용과 희소성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다행히 억제돼 왔다. 하지만 ‘취약한 세계의 가설’(The Vulnerable World Hypothesis)이라는 제목으로 발표된 이번 보고서에서 보스트롬 교수는 이는 단지 인류가 지금까지 운이 좋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보스트롬 교수는 “‘취약한 세계’라고 부를 수 있는 기술이 나오면 문명은 기본적으로 거의 확실히 파괴된다”고 지적했다.
그의 말로는 지금까지 우리가 만든 대부분 기술은 사회에 이로운 것이었다. 이는 발명이라는 가상의 항아리에서 뽑은 ‘흰색 공’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핵무기와 같은 기술은 ‘회색 공’으로 생각할 수 있다고 그는 설명했다.
이와 함께 그는 “지금까지 우리가 뽑지 않은 것은 ‘검은색 공’으로 이는 언제나 혹은 기본적으로 문명을 파괴하는 기술”이라면서 “그 이유는 우리가 기술 정책이 있어 특히 신중하거나 현명했기 때문이 아니라 단지 운이 좋았을 뿐”이라고 말했다.
보스트롬 교수에 따르면, 가장 분명한 검은색 공 같은 기술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대량 파괴 기술이다. 예를 들면, 바이오해킹(DNA 조작)으로 대규모 질병을 퍼뜨릴 수도 있는 것이다.
또 보스트롬 교수는 원자폭탄의 개발과 같이 역사적인 사례를 다시 조사해 어떻게 일이 잘못될 수 있었는지를 살폈다.
그는 원자폭탄 성분이 플루토늄이나 우라늄이 아니라 널리 구할 수 있는 물질을 이용했다면 세계적인 재앙을 막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 될 수도 있었다고 지적했다.
또한 “인터넷에 즉각적이면서도 익명으로 공개할 수 있는 오늘날 시대에서는 과학적인 비밀의 확산을 제한하는 것이 훨씬 어려울 것”이라고 언급했다.
즉 문명의 불안정을 막거나 다시 안정화하려면 세계는 가혹한 조처를 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유리나 금속과 같이 어디에나 존재하는 재료를 구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그렇게 하려고 해도 격렬한 반발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런 기술은 세계를 대규모 감시 상태로 몰아넣거나 전 세계적인 무기 경쟁을 촉발할 수도 있다.
그는 세계가 예방적 차원의 치안유지 활동을 하거나 글로벌거버넌스를 확립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글로벌거버넌스는 세계적 규모의 문제들에 국가가 충분히 대응하지 않을 때 국제사회가 해결 활동을 전개하는 것을 말한다.
인류는 아직 취약한 상태에 접어들지 않았지만, 이 조사는 우리가 검은색 공이라는 기술을 우연히 발견하기라도 하면 관리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울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그리고 그것은 우리가 애초에 그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막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의문을 제기한다.
보스트롬 교수는 “발명이라는 항아리 속에 검은색 공이 들어있을지도 모른다고 심각하게 우려하더라도 만일 추후 이런 취약점을 명확하게 가정할 수 있다면 지금보다 강력한 감시나 글로벌거버넌스를 선호할 필요는 없다”면서도 “하지만 이런 계획이 얼마나 현실적인지는 의문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123rf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