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자유대학 연구팀은 펭귄과 물개 배설물이 '싼 곳'에서 1㎞ 떨어져 있는 지역까지 생물 다양성을 풍부하게 만들고 있다는 논문을 발표했다.
잘 알려진대로 극한의 추위를 가진 남극대륙에도 수많은 동식물이 존재한다. 특히 이들 지역 중에는 작은 벌레를 잡아먹는 진드기, 원시 곤충인 톡토기, 곰벌레 등이 풍성하게 살고있는 이른바 '핫스팟'이 많다. 연구팀은 주목한 것은 펭귄과 물개똥이 이들 지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연구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들의 배설물은 얼어붙은 남극대륙에 생명을 주는 '연료'다.
연구팀에 따르면 다른 포유동물이 없는 지역과 비교해 펭귄과 물개 서식지가 있는 지역에서 자라는 모두 유기체에는 생명체에 필수적인 '질소-15'라고 불리는 질소 동위원소가 훨씬 높은 수치를 보였다.
연구를 이끈 스테프 보그호스트 박사는 "이들 지역 유기체의 질소-15 수치가 너무 높아 펭귄과 물개똥 외에는 달리 나올 때가 없었다"면서 "펭귄은 단백질이 풍부한 식단 때문에 질소-15를 다량 배설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배설물에서 나온 증발된 암모니아 가스가 바닷바람을 타고 1㎞ 내륙까지 날아간다"면서 "펭귄의 똥으로 비옥해진 면적이 집단 서식지에 비해 최대 240배"라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이렇게 퍼진 질소가 남극 생태계의 가장 중요한 유기체인 이끼류를 풍성하게 만들었고 이를먹는 진드기나 독토기로 이어지는 균형잡힌 생물 다양성을 만든 것으로 풀이했다.
보그호스트 박사는 "펭귄과 같은 동물에게서 나온 질소는 생물 다양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면서 "결과적으로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으면 펭귄 등의 서식지가 변화면서 지역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