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색 효과 탓에 그저 아름다워 보일 수도 있지만, 이미지에 찍힌 금성의 구름은 물이 아닌 황산 입자로 돼 있다. 구름에서는 황산 비가 내릴 때도 있지만, 표면 온도는 약 470℃나 돼서 황산 빗방울이 땅에 떨어지기 전에 다시 증발한다. 납이나 주석 또는 아연같이 녹는점이 늦은 금속은 녹을 만큼 높은 온도로 사실 태양과 더 가까운 수성의 표면 온도(427℃)보다도 높다.
이처럼 금성이 이렇게까지 고온이 돼버린 이유는 대기의 대부분이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로 돼 있기 때문이다.
금성은 우리 지구와 크기가 거의 같아 흔히 지구의 쌍둥이 행성으로 표현돼 왔지만, 그곳의 환경은 지구와 전혀 다르다. 지난 13일(현지시간) ESA가 ‘이미지 속 우주’ 부문에 소개한 이 사진에 ‘지구의 사악한 쌍둥이’라는 제목을 붙였을 정도다.
그렇지만 금성이 처음부터 이런 모습은 아니었던 것 같다. 아주 먼 옛날에는 금성에도 지구와 같이 물로 된 바다가 있었지만, 금성 역사의 어느 시점에서 대기에 대량의 열이 가해져 물 역시 지나치게 증발하기 시작한 것이다.
물이 증발해 생긴 수증기 역시 온실가스에 속하므로 늘어난 수증기 탓에 온실효과는 그야말로 폭주해 더 많은 열을 가두면서 물은 더 많이 증발했다. 이렇게 해서 금성에서는 모든 바다가 사라지고 그야말로 불 타는 지옥 같은 환경만이 남았다는 것이 현재로서 가장 가능성이 큰 금성 온난화의 시나리오다.
물론 현재 지구에서도 인류의 문명 활동으로 온난화가 진행되고 있다. 지구와는 전혀 무관하게 보이는 금성의 혹독한 환경은 미래 지구의 모습을 예상할 수 있도록 자연이 우리에게 경고하는 일종의 메시지일지도 모른다.
비너스 익스프레스의 관측에 따라 금성의 대기에서는 여전히 수증기가 우주 공간으로 빠져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가 금성에 대해 깊이 아는 것은 지구와 금성이 서로 닮은 쌍둥이가 되지 않기 위해서도 중요한 일인 것이다.
사진=ESA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