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은 27일 브라운대학 컴퓨터과학부의 한 학생이 연구 발표회를 위해 제작한 ‘글자 적는 로봇’을 소개했다.
고타니 아츠노비라는 이름의 이 학생은 지난 2일 개최된 ‘제5회 컴퓨터과학부 연구 심포지엄’에서 20명이 넘는 참가자 가운데 이 로봇을 발표해 1위를 차지했다. 로봇은 학생에게 처음 배운 일본어뿐만 아니라 스스로 배운 영어와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그리스어 그리고 힌두어 등 10개 언어로 된 단어를 거의 비슷하게 베껴 쓸 수 있었다.
이 능력은 로봇이 알파벳의 각 문자를 구별하는 각 획을 어디에 어떻게 배치할 것인지 그리고 정확한 단어를 만들기 위해 어떤 순서로 배치할 것인지를 정하도록 도와주는 알고리즘을 탑재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고타니 학생은 “표적 심상인 단어나 스케치를 보는 것만으로도 로봇은 각 획을 하나의 연속적인 동작으로 재현할 수 있다”면서 “그렇게 되면 사람들은 로봇이 쓴 것인지 실제 사람이 쓴 것인지 구별하기가 어려워진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로봇은 스스로 글자를 쓰는 법을 배우기 위해 두 개의 서로 다른 알고리즘 모델을 탑재했다.
‘글로벌’ 모델은 로봇이 이미지를 전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며, 특정 단어나 문자에 관해 예상되는 획의 출발점이 어디인지를 정할 뿐만 아니라 다른 문자로 이동하는 법을 정할 수 있게 도와준다. 또한 ‘로컬’ 모델은 로봇이 현재 작업하고 있는 문자 즉 올바른 이동과 배치 등을 완료하는 데 도움이 된다.
덕분에 로봇은 한 번도 못 본 언어를 따라 쓸 수 있었고 이런 능력은 연구진마저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브라운대학에 따르면, 로봇은 약 93%의 정확도로 문자와 이를 만들어낸 획을 재현할 수 있다. 또 로봇은 영어로 된 인쇄물이나 필기체 등 이전에 본 적이 없는 다른 글자들도 재현할 수 있다.
또 연구진은 로봇이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그린 걸작 모나리자를 스케치한 그림을 보기만 해도 재현할 수 있는 능력을 봤을 때 다시 한번 놀랐다.
연구진은 “로봇은 선을 따라가며 이미지를 재현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터와 달리 사람처럼 그림을 그려 모나리자 스케치를 모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연구진은 6살 아이들로 이뤄진 한 그룹이 칠판에 각 나라말로 ‘안녕’이라는 단어를 적었을 때 로봇이 베껴 쓸 수 있는지를 시험했다. 이 역시 로봇은 쉽게 복사하듯 쓸 수 있었다.
고타니 학생을 지도했으며 연구에도 참여한 스테파니 텔렉스 교수는 “우리는 로봇이 한 언어만 배웠다면 행복했을 것이다. 하지만 일단 로봇이 영어 단어를 쓰게 되자 우리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면서 “그 뒤 우리는 로봇이 얼마나 더 배울 수 있는지 살피기로 했다”고 회상했다.
끝으로 고타니 학생은 “내 연구를 통해 얻은 데이터가 포스트잇 메모를 남기거나 받아쓰기 또는 도표를 스케치할 수 있는 로봇을 만드는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사진=브라운대학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