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사진을 두고 온라인에서는 바다 사진이 분명하다는 주장과 자동차 문이 확실하다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한 이용자는 “내 눈에는 그저 아름다운 해변으로 보인다. 어디가 자동차 문이라는 건지 모르겠다”고 밝혔다. 다른 몇몇 이용자들도 “자동차 문이라는 것을 확인하고 싶지만 내 눈에는 보이지 않는다”고 맞장구를 쳤다. 또 다른 이용자는 “처음에는 해변인 듯 보였지만 자세히 보니 부서진 자동차 문”이라고 단언했다.
이에 대해 사진을 최초 공개한 나임은 “어두운 부분에 시선을 모으면 자동차 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 사진은 집 밖에 주차되어 있던 차량의 훼손된 문을 촬영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파도의 거품으로 보이는 부분은 구부러지고 긁힌 패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해수욕장을 연상시키는 모습에 재미 삼아 사진을 찍어 올렸는데 이렇게 뜨거운 반응을 얻을 줄은 몰랐다고 덧붙였다.
몇 년 전에도 하나의 드레스를 놓고 색깔 논쟁이 일어난 적이 있었다. 드레스의 색깔이 흰색과 금색 조합이라는 사람과 파란색과 검은색 조합이라는 사람들로 나뉘었는데, 당시 포토샵 개발사인 어도비사는 이 드레스의 색깔이 파란색과 검은색 조합이라고 확인했다. 비슷한 색깔 논쟁은 아디다스 저지와 반스 운동화로도 이어졌다. 한 장의 아디다스 저지 사진을 두고 사람에 따라 하늘색과 흰색으로 보기도, 먹색과 연갈색 혹은 카키색과 금색으로 보기도 했다. 반스 운동화 역시 어떤 사람은 회색과 민트색 조합으로, 다른 사람은 흰색과 분홍색 조합으로 인식했다.
그렇다면 왜 같은 사진도 사람마다 다르게 보는 걸까. 여러 주장이 있지만 그 중 ‘색채 항상성’(color constancy)에 따른 것이라는 해석이 가장 널리 인정받고 있다. 색채 항상성은 주변 조명 환경이 달라져도 한 가지 물체를 계속 같은 색상으로 보려고 하는 성질을 말한다. 전문가들은 사람마다 이 색채 항상성에 차이가 있어 같은 색을 다르게 해석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