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디앱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선 해당 디앱 업체가 발행한 암호화폐를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구매하거나,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수수료 지급을 위한 기축통화를 보유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블록체인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 고객들이 사용하기에는 거의 불가능에 가까웠다.
링카의 디앱 PG 개발로 링카 디앱 PG와 연동되는 디앱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은 복잡한 절차 없이 기존에 사용하던 신용카드 등 익숙한 결제수단으로 디앱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암호화폐, 신용카드, 포인트 등을 함께 사용하는 복합결제 서비스도 제공되면서 블록체인을 사용하지 않는 커머스 등 대다수의 사업자들도 쉽게 암호화폐를 결제수단으로 도입할 수 있다.
이는 링카 툴킷(Toolkit)만 도입하면 별도의 시스템 개발이나 교체 없이도 이런 환경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링카 관계자는 “링카의 디앱 PG가 블록체인을 전혀 모르는 소비자들이나 가맹점 사업자들에게 편리한 사용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기 때문에 블록체인 생태계 확장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현재 서비스 확대를 위해 국내외 여러 대기업들과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링카는 인류가 창출하는 가치를 공정하게 연결해 주는 것을 목표로 IBM의 블록체인 전문가들과 한국은행, 신한카드, 삼성카드 출신의 금융전문가들이 설립한 블록체인 전문 기업이다.
나우뉴스부 nownew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