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7년 7월 16일에 발사된 미국의 유인 우주선 아폴로 11호는 나흘 뒤인 20일 처음으로 달 지표면에 착륙선을 안착시켰으며, 다음날인 21일 선장 닐 암스트롱과 달 착륙선 조종사 버즈 올드린이 달의 표면에 발을 내딛었다. 인류 역사상 최초로 지구가 아닌 천체에 발을 내닫은 역사적인 사건이었다.
"이것은 한 인간에게 있어서는 작은 한 걸음이지만, 인류에게 있어서는 위대한 도약이다."는 말은 이 순간 전 세계 인류를 향해 날린 암스트로의 유명한 멘트이다. 암스트롱이 달표면에 내려간 지 15분 후, 두번째로 달을 딛은 올드린은 달 표면에 내려가자 첫 인상으로 달의 모습을 '장엄하고 황량한 풍경'이라고 표현했다.
이 역사적인 사건을 두고 시인-예술가들 중 일부는 달에 대한 낭만이 사라져서 이제는 '달아 달아 밝은 달아 암스트롱 놀던 달아' 라고 노래부르게 되었다고 푸념하기도 했지만, 인류가 우주로 진줄하는 교두보를 확보했다는 사실을 부정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위의 그림은 당시 서울 삼양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중이던 김도미 씨가 그린 것이다.
김 씨는 당시 뉴스를 통해 아폴로 11호가 달을 향해 떠났다는 소식을 접했고, 이 사실에 매우 흥미를 느껴 그림으로 남긴 기억이 있다고 밝혔다.
상단에는 당시 김 씨의 담임선생님이 기록한 것으로 보이는 '아폴로 11호 69. 7. 18'이라는 문구를 확인할 수 있다.
호기심많은 초등학생이었던 김 씨는 흑백텔레비전을 통해 아폴로 11호의 소식을 처음 접했지만, 상상력을 발휘해 컬러로 그린 게 특이하다. 별의 색깔은 온도에 따라 다른데, 그림에 나타난 별들의 색깔이 각기 다른 점도 흥미로운 부분이라 하겠다.
이 그림을 통해 당시 미국에서 멀리 떨어진 한국의 어린 학생들도 아폴로 11호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다.
한편 미국항공우주국(NASA)는 반세기 전 아폴로 11호 등에서 가져온 달 샘플에서 생명체 흔적을 찾으려 했던 연구 영상을 유튜브에 공개하는 등 인류 최초 달 착륙을 기념하는 다양한 이벤트를 마련했다.
이광식 칼럼니스트 joand999@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