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공군 아놀드기술연구소는 최근 뉴멕시코 앨라모고도에 위치한 홀로먼 공군기지에서 마하 8.6, 시속 6599마일의 극초음속 로켓 썰매의 지상 비행 시험을 진행했다.
초속 1마일이 넘는 속도로 트랙을 질주하는 로켓 썰매는 육안으로는 확인이 불가능할 정도다. AFTC가 공개한 영상에는 밝은 빛 외에는 형태를 알아볼 수 없는 로켓 썰매가 소닉붐(초음속 비행에서 발생하는 큰 폭발음)을 내며 극초음속으로 지나가는 모습이 담겨 있다. 1/2배속, 1/4배속으로 재생 속도를 늦춰봐도 식별이 불가능하긴 마찬가지다.
미 육해공 3군은 국방부 방위고등연구계획국 주도 아래 극초음속 미사일을 공동 개발하고 있다. 미 의회는 2022년 10월까지 극초음속 미사일을 실전 배치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올해 책정한 관련 예산만 26억 달러(약 3조 원)에 달한다.
이 같은 행보는 중국 및 러시아와의 극초음속 무기 개발 경쟁에 따른 것이다. 미국은 현재 러시아와 중국이 개발하고 있는 극초음속 무기를 방어할 수단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음속의 5배, 마하 5의 속도에 달하는 극초음속 무기가 ‘게임체인저’(game changer, 판도를 바꿀 제품)로 불리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현존하는 그 어떤 방어 체계로도 막을 수 없는 극초음속 무기가 미래 전쟁의 판도를 바꿀 것으로 보고 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