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전기차 전문매체 ‘일렉트렉’(Electrek) 등 외신은 25일(이하 현지시간) 미국특허청(USPTO)이 지난 21일 테슬라가 지난 5월 10일 출원한 ‘차량과 태양광 발전장치의 유리 부품에 쌓인 먼지를 세척하는 펄스 레이저’에 관한 특허를 공개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테슬라가 ‘사이버트럭’이라는 이름의 미래 지향적인 픽업트럭을 발표하는 행사를 연 날이기도 하다.
특허 문서에 따르면, 차량의 세척 시스템에는 유리 부위에 레이저빔을 쏘는 빔 광학 조립체, 그 부위에 쌓인 먼지를 인식하는 이물질 감지 전자회로, 그리고 이 회로의 신호에 근거해 레이저빔을 조사함과 동시에 레이저빔이 유리 두께를 넘어 투과하지 않도록 출력을 조정하는 제어전자회로 등이 포함된다.
하지만 ‘레이저 와이퍼’라고 불리는 이 장치는 어디까지나 유리 표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목적이지 비오는 날 유리에 붙은 빗방울을 없애지는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문서에 첨부된 도면에는 자동차 보닛에 장착된 레이저 와이퍼가 앞 유리창에 들러붙은 이물질을 향해 레이저빔을 발사하는 모습이 담겼다. 또 뒷 유리창에 달라붙은 이물질은 측면에 장착된 레이저 장치로 세척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심지어 또 다른 도면을 보면 이 기술은 건물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패널에도 적용할 수 있는 모양이다.
게다가 테슬라는 이번에 발표한 사이버트럭에도 태양광 발전패널을 탑재하는 옵션을 마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이 장치가 만일 상용화된다면 태양광 자동차 분야에서 큰 걸림돌이 되고 있는 태양광 발전패널의 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사진=테슬라, 미국특허청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