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조사단체 인사이트 크라임의 보고서를 인용한 중남미 언론에 따르면 2019년 베네수엘라의 살인률은 인구 10만 명당 60.3명으로 세계에서 가장 높았다.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베네수엘라에선 살인사건 1만6506건이 발생했다. 살인률은 2018년 81.4명에서 60명대로 크게 줄었지만 자메이카(47명), 3위 온두라스(41명) 등과 비교하면 격차는 여전히 압도적으로 높았다. 살인이 성행하는 데는 다양한 원인이 있다는 게 현지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베네수엘라의 범죄학전문가인 변호사 루이스 이스키엘은 "범죄조직이 크게 늘어난 가운데 총기에 대한 통제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게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스키엘은 "경제위기가 장기화하면서 범죄자가 급증했고, 점점 강력범죄가 늘어나는 추세"라고 말했다. 생계형 단순 절도에서 강도, 살인으로 범죄가 갈수록 포악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조직범죄가 늘어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다. 경제위기로 생계를 걱정하게 된 사람들이 범죄에 손을 대기 시작하면서 베네수엘라에선 범죄조직이 급증하고 있다.
베네수엘라 비정부기구(NGO) 사회안전파수대에 따르면 2019년 현재 베네수엘라에는 최소한 1만8000개 이상의 범죄조직이 존재한다. 조직원이 최소한 60명 이상인 카르텔급 범죄조직 25개가 베네수엘라 전국 각지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스키엘은 "범죄조직이 장악한 '영토'를 지키기 위해 장총은 물론 수류탄으로까지 무장하고 있다"며 "강력히 무장한 범죄조직이 늘어나고 있는 건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국가는 치안 문제에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 오히려 국가가 국민의 생명을 앗아가고 있다. 치안질서를 확립하지 못하고 있다는 원론적 얘기가 아니라 직접적인 책임을 지적하는 말이다.
베네수엘라이 비정부기구(NGO) 사회안전파수대에 따르면 지난해 베네수엘라에서 살인사건으로 목숨을 잃은 1만6000여 명 가운데 1/3은 공권력의 공격을 받고 사망한 경우였다.
관계자는 "지난해 공권력에 의해 살해된 사람의 대부분은 저소득층 30세 이하의 청년들이었다"며 "반정부시위에 대한 강제해산과 무관치 않다"고 말했다.
사진=자료사진
손영식 해외통신원 vonis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