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제목의 칼럼은 곧장 현지 포털 사이트 ‘바이두’와 ‘소후닷컴’(sohu.com)과 ‘웨이보’(微博), ‘웨이신’(微信) 등 SNS 검색어 상위에 올랐다. 논란이 된 칼럼에는 최근 우한 일대에서 발병한 ‘코로나19’(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사태 이후 마스크 등 방호용품 지원을 일체 금지했던 인도 정부가 메뚜기 떼의 습격을 받은 것은 당연한 이치라는 내용이 포함됐다.
실제로 최근 인도 정부는 약 4000억 마리의 메뚜기 떼로 농경지 555만 헥타르가 피해를 입고, 약 100억 루피(약 1660억 원)의 피해를 입었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해당 메뚜기 떼는 인도를 넘어 파키스탄, 라자스탄 등으로 이동, 추가 피해를 낳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과거 중국 정부의 대대적인 지원 정책에도 불구, 인도 정부가 최근 중국 내 공장에서 생산 중이었던 마스크의 필수품인 면화 수출을 일체 중지했던 사실이 일반에 알려진 것.
지금껏 중국 정부가 인도 정부에 지원했던 약 70억 위안(약 1조 2000억원) 규모의 원조와 전문가 파견을 통한 공업화 정책 지원 등의 내용이 추가 공개됐다. 반면, 최근 인도 정부는 마스크 생산의 주요 원료인 인도산 면화에 대해 중국으로의 수출을 일체 중지했다고 중국 현지 다수의 언론은 전했다. 이에 대해 중국 여론은 ‘배은망덕한 인도’라는 날선 목소리가 제기된 상황이다.
더욱이 중국의 다수 언론은 인도 정부의 중국에 대한 무(無) 지원 입장에 대해 ‘중국으로부터의 원조를 기억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면서 ‘마스크 생산에 가장 주요한 면화 수출을 금지한 인도 정부의 입장이 곧 메뚜기 떼의 습격이라는 재앙으로 이어졌다’고 날을 세웠다.
그러면서 ‘이 같은 인도의 중국에 대한 입장은 아시아에서 경제적 패권국으로 성장, 군사적으로 중국을 앞서 아시아 1위가 되려는 야망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면서 ‘중국을 경쟁 상대 국가로 여기는 인도가 지속적으로 국경 분쟁을 일으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덧붙였다. 또, 인도 정부의 이 같은 입장의 가장 큰 원인으로 ‘인도가 서양 세력권의 영향에 들어갔기 때문’이라는 추측도 쏟아냈다.
반면, 과거 중국을 침략했던 일본 정부가 최근 대규모 마스크와 방호복 등을 지원했다는 점을 지적, ‘일본 정부의 중국 돕기 움직임에 대해 모두 감격하고 있다’고 했다. 이와 함께, 중국 정부가 인도를 대신할 면화 대체 국가를 찾았다는 점에 이목이 집중됐다. 보도에 따르면 최근 중국 정부는 마스크 생산에 소요되는 면화 주요 수입국으로 에티오피아와 추가 계약을 한 것이 알려진 바 있다.
현지 다수의 언론은 에티오피아와의 면화 생산 및 공급 협력에 대해 ‘인도가 면화 수출 금지를 선언한 지 한 달도 안 돼 중국 정부가 면화 대체국을 찾았다’면서 ‘국제 시장에서 거래는 반드시 쌍방향 신뢰가 우선되어야 하지만 인도가 먼저 외면한 것은 되돌이킬 수 없는 큰 실수로 역사에 기록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메뚜기 떼의 습격 이후 인도는 중국 정부에 원조 지원을 요청한 사실이 드러났다’면서 ‘인도 정부는 자신들이 우리에게 보여준 오만함의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다. 이미 때는 늦었다’고 적었다. 이 같은 비난의 목소리는 현실로 이어지는 분위기다. 중국 정부가 최근 메뚜기 떼의 습격을 받은 인도를 제외한 채 최근 파키스탄에만 메뚜기 떼 퇴치 전문가를 파견했기 때문이다.
주파키스탄 중국대사관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파키스탄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의 싸움을 지지해준 데 대해 감사하다’면서 ‘중국은 파키스탄에서 발생한 심각한 메뚜기 떼 재해를 매우 중시하고 있다. 비록 중국이 코로나19와 싸우는 중요한 시기지만 적극적인 지지·원조 제공을 고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번 주 안에 권위 있는 전문가로 구성된 메뚜기 떼 퇴치팀을 파견해, 파키스탄이 맞춤형 방안을 수립하도록 협조하고 도전에 함께 대응할 것’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바크타아르 파키스탄 장관은 중국 정부의 지원에 감사를 표하고 “양국이 어려움을 같이하는 형제의 우정을 보여줬다”면서 “중국 전문가팀에 최고의 편의를 제공할 것이다. 중국의 메뚜기 떼 방제기술은 세계적으로 앞서 있으며 이를 통해 메뚜기 떼 대응에 도움이 되기 바란다”고 화답했다. 한편, 최근 아프리카 동부에서 발생한 메뚜기떼는 중동을 넘어 인도와 파키스탄까지 피해를 주고 있는 상황이다.
임지연 베이징(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