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이하 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요사는 지난주 스페인 ‘엘 파이스’와 페루 ‘라 레푸블리카’에 게재한 칼럼에 '중국이 민주주의 국가였다면 코로나19의 대유행은 다르게 전개됐을 것'이라고 썼다.
2010년 노벨문학상을 받았던 요사는 “중국이 독재국가가 아니라 자유로운 민주주의 국가였다면 현재 세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은 없었을지도 모른다”고 주장했다. 이어 “적어도 한 명의 저명한 의사, 어쩌면 여러 명의 의사가 시간이 충분한 단계에서 이 바이러스의 존재를 밝혀냈음에도 중국 정부는 그에 대응하는 조처를 하는 대신 다른 모든 독재국가처럼 정보를 숨기고 그런 목소리를 묵살했다”고 덧붙였다.
그러자 중국 측은 이 칼럼을 맹렬하게 비난했다. 페루 주재 중국 대사관 측은 성명을 통해 “우리는 표현의 자유를 존중하지만 이것이 자의적인 중상모략이나 오명을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공인으로서 아무런 목적도 없이 무책임하고 편견에 찬 의견을 퍼뜨리지 말라”면서 "코로나19를 중국에서 온 것이라고 언급했는데 이는 불확실한 주장이며 세계보건기구(WHO)는 지금까지 코로나19의 근원을 파악하지 못했다"며 반박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발원지는 대량의 감염자가 나온 중국 후베이성 우한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지난 12일 중국 외교부 자오리젠(趙立堅) 대변인이 “미군이 우한에 코로나19를 가져온 것일 수 있다”고 주장해 논란이 일어난 바 있다.
사진=AFP 연합뉴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