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시간으로 5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애리조나에 있는 N95 마스크 생산 공장을 방문했는데, 공장의 작업자들은 마스크를 쓰고 있었음에도 정작 트럼프 대통령은 끝까지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채 현장 연설을 포함해 시찰 일정을 마쳤다.
이에 로이터 등 미국 국내외 언론은 연방정부가 마스크 착용을 권장하고 있음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지금까지 이를 거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워싱턴포스트는 “해당 시설(마스크 공장)에 ‘마스크 착용이 필요함’이라는 게시물이 붙어있었다”고 지적했지만, 백악관 관계자는 “공장 측이 ‘마스크 착용은 의무가 아니다’라고 말해 마스크를 쓰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마스크 공장에 가서도 마스크를 쓰지 않은 트럼프 대통령이 마스크 탓에 구설에 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미국에서 코로나19로 하루 사망자가 821명이나 발생했던 지난 3월 30일, 트럼프 대통령은 2주일 내에 사망자가 정점에 달할 것이라는 예측과 마스크 착용 의무화 목소리에도 불구하고 공식 석상에서 “마스크를 찾지 말아라”라고 발언해 논란이 일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마스크를 찾지 말고, 대신 원한다면 스카프를 사용하라. 스카프는 매우 좋을 것이며, (스카프 만으로도) 해롭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난이 잇따르자 며칠 뒤 브리핑에서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마스크 착용 권고 새 지침안을 전달하면서도 “나는 쓰지 않을 것”이라고 고집을 부리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나는 현재 건강 상태가 좋다. 또 집무실에서 안면 마스크를 착용한 채 다른 나라의 대통령이나 총리, 왕, 여왕 등을 맞이한다는 건 생각할 수 없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정작 본인은 마스크를 ‘병적으로’ 거부하면서, 마스크로 인한 기업-국가-외교 갈등은 불사하겠다는 의지를 표한 적도 있다.
지난달 2일,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제조업체에게 마스크 생산 확대·수출 금지를 요구하는 국방물자생산법(DPA)를 발동했다. 이후 미국의 대표적인 마스크 생산업체인 3M이 외국에 마스크를 수출하고 있다며 “매우 실망”이라며 “마스크를 수출하는 자국 기업들에 대해 보복하겠다”고 경고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3M과 갈등을 겪던 당시, 독일이 주문한 3M 마스크가 중국 공장에서 생산돼 태곡 방콕을 경유하던 도중 주문량의 절반인 20만 장이 미국으로 넘어간 일도 있었다. 당시 베를린 주 정부 내무장관은 “현대판 해적 행위”라며 미국을 강하게 비난했지만 미국은 혐의를 부인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