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가 전세계를 휩쓸고 있는 가운데 동아프리카 지역은 코로나 바이러스보다 더 무서운 메뚜기떼의 2차 공습이 예고되고 있다.
지난 6일(현지시간) AP통신 등 외신은 케냐에서 지난 3주 동안의 폭우로 인한 홍수와 산사태로 200명 가까이 숨지고 많은 작물이 피해를 봤다고 보도했다. 코로나19에 이어 홍수까지 그야말로 엎친 데 덮친 격이지만 문제는 이것이 끝이 아니라는 점이다. 지난해 말 부터 이어진 폭우와 홍수는 거대한 메뚜기 떼가 형성되는 좋은 조건이 되기 때문이다.
실제 최근 우간다, 소말리아, 케냐 등의 아프리카 일부 지역은 수천억 마리에 이르는 메뚜기들의 공습으로 큰 고통을 겪었다. 지구상에서 가장 파괴력이 큰 해충으로 꼽히는 메뚜기는 자기 몸무게 만큼을 먹어치울 만큼 가공할 식성을 자랑하는데 이는 농민들이 소중히 가꾸어놓은 농경지를 초토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
가뜩이나 코로나19로 전세계 식량 교역에 제동이 걸린 마당에 수많은 아프리카인들이 굶어죽을 수 있는 최악의 상황으로 몰리고 있는 셈. 특히 메뚜기는 바람을 타고 하루에 150㎞씩 이동하는데, 중동으로 거쳐 중국까지 날아가 전세계적인 식량위기로도 이어질 수도 있다.
여기에 예고된 메뚜기떼의 2차 공습은 1차 때 보다 더욱 파괴적일 것으로 보인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1차 메뚜기떼는 두달 전 동아프리카 지역에서 최고조에 달했는데 방치되면 20배는 증식한다. 이는 2차 메뚜기떼가 1차보다 훨씬 더 강력하고 더 위협적이라는 의미다. 이에 UN 측은 "케냐,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등 지역이 극히 우려할 만한 상황"이라면서 "이 지역에 심각한 식량부족을 야기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
그러나 메뚜기떼 퇴치를 가로막고 있는 것은 코로나 바이러스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세계의 관심과 지원도 끊겨 살충제도 없고 항공 지원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