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 캘리포니아주 가데나 지역 식료품점 경비원 우메이르 호킨스(38)는 마스크를 쓰지 않은 채 매장으로 들어가려던 손님 제리 루이스(50)를 제지했다. 경비원과 언쟁을 벌이던 손님은 결국 발길을 돌려 매장 밖으로 나갔다. 해프닝으로 끝나는 듯했던 둘의 싸움은 퇴근길 주차장에서 계속됐다.
현지언론은 마스크를 쓰지 않은 채 식료품점으로 들어갔다가 쫓겨난 손님이 다시 돌아와 퇴근하던 경비원과 몸싸움을 벌였다고 전했다. 이 과정에서 남편을 기다리던 경비원의 아내 사브리나 카터(50)가 손님에게 권총을 겨누며 싸움을 말렸고, 루이스는 자신의 차량 쪽으로 몸을 피했다.
그러자 이번에는 경비원이 달아나는 손님을 향해 총격을 가했다. 현지경찰은 경비원이 쏜 총에 맞은 손님이 현장에서 사망했으며, 경비원과 그의 아내를 각각 살인 및 불법총기소지 혐의로 체포했다고 밝혔다.
2013년 폭행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바 있는 경비원 부부는 현재 수감 상태로 재판을 기다리고 있다. 유죄가 확정될 경우 경비원은 최대 50년, 경비원의 아내는 3년의 실형이 선고될 가능성이 높다. 보석금은 각각 100만 달러, 3만5000달러로 책정됐다.
사망한 루이스의 딸은 현지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이런 식으로 해선 안 된다. 아버지는 그런 사람이 아니다. 마음씨 좋은 분”이라며 억울함을 호소하는 한편, 경비원 부부의 강력한 처벌을 요구했다. 루이스는 1990년대 ‘매드 헤드’라는 가명으로 활동하며 인기를 끈 유명 래퍼인 것으로 알려졌다.
잇단 마스크 착용 실랑이
최근 미국에서는 고객에게 마스크 착용을 요청한 서비스업 노동자가 봉변을 당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지난달 플로리다주 포트마이어스의 코스트코 매장에서는 한 남성이 마스크를 써달라는 다른 고객의 요청에 소리를 지르며 소란을 피웠다가 직장에서 해고된 일이 있었다.
같은 달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유명 멕시칸 음식점은 마스크 착용을 두고 직원과 고객 간 충돌이 잇따르자 아예 운영을 일시 중단하기도 했다.
지난 5월에는 미시간주 플린트시의 한 저가제품 매장에서 고객 한 명이 마스크를 써달라고 요청하는 경비원과 말다툼을 하다 총으로 쏴 살해했다. 비슷한 시기 콜로라도주의 식당에서도 마스크를 쓰지 않아 쫓겨난 손님이 총기를 난사해 논란이 일었다.
LA 스타벅스 매장 관리자는 지역·주 당국이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했음에도 고객의 10%가량은 마스크를 쓰지 않는다면서 “(마스크 착용은) 공중보건 사안일 뿐인데 사람들은 거대한 정치적 메시지가 담긴 일로 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9일 워싱턴포스트는 “수백만 명의 소매, 서비스업 노동자가 ‘마스크를 썼으면 하는 자’와 ‘쓰지 않으려는 자’ 간 문화전쟁의 최전선에 말려들었다”고 분석했다. 연방정부 차원의 의무 규정이 없어 혼란이 가중됐다는 지적이다.
연방 차원 규정 없어 혼란 가중
현재 미국에서는 수도 워싱턴DC와 20여 개 주가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한 상태다. 그러나 연방정부 차원의 의무 규정은 없다. 그러다 보니 서비스업 일선의 마스크 착용 관련 방침도 제각각이다.
할인마트 체인 ‘타깃’은 법적으로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된 지역에는 입구마다 경비원을 배치했지만, 주택용품 체인 ‘홈디포’와 슈퍼마켓 체인 ‘크로거’는 입구에 안내문만 부착했다.
업계는 전국적인 마스크 착용 의무화를 원한다. 월마트 등이 소속된 소매산업지도자협회는 최근 전미주지사협회에 서한을 보내 쇼핑몰 등 공공장소에서 사람들이 마스크를 쓰도록 명확한 방침을 내려달라고 요청했다.
이들은 “마스크 착용이 시민으로서 자유를 침해한다는 잘못된 인식을 가진 소수 고객이 서비스업 종사자를 적대시하고 폭력을 행사한다”고 지적했다. 또 “마스크 착용은 두려움이나 정치적 견해를 반영하는 일이 아니라, 코로나19 확산을 막고 타인을 존중하는 일이다. 더는 논쟁거리가 돼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