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티오피아와 이집트, 수단 3국은 14일 아프리카연합(AU) 중재로 협상을 벌였다. 그러나 참여국 간 견해차는 좁혀지지 않았고, 협상은 결국 합의 없이 종료됐다. 이집트는 담수 전 합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었으나, 에티오피아가 담수가 자국 권리라고 맞서면서 평행선을 달렸다.
에티오피아는 ‘대(大)에티오피아 부흥’ 사업의 일환으로 나일강 상류에 ‘그랜드 에티오피아 르네상스 댐’(GERD)을 건설했다. 댐에는 약 740억 톤의 물을 가둘 계획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소양강 댐의 25배에 달하는 규모다. 높이 1550m, 길이 1.8㎞의 댐을 건설하는 데 드는 공사비용만 46억 달러(약 5조5400억)에 달한다.
댐이 완전 가동을 시작하면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수력발전소가 될 전망이다. 전기 부족에 시달리는 에티오피아 6500만 국민도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에티오피아 정부는 인접국에 전기를 수출하고 제조업 성장 발판도 마련하겠다는 야심에 찬 계획을 세우고 있다.
문제는 댐에 물을 완전히 채우는 데 5~7년이나 걸린다는 점이다. 모든 용수를 나일강에 의존하는 이집트에는 큰 위협이다.
이집트는 농업과 어업, 교통, 관광 등 사실상 거의 모든 산업을 나일강에 의존하고 있다. 이집트 인구의 90%에 이르는 1억 명이 나일강 주변에 산다. 나일강이 2%만 줄어들어도 100만 명이 실직한다는 통계가 있을 정도다. 나일강이 이집트의 '젖줄'인 셈이다. 에티오피아가 댐에 물을 가두고 흘려보내지 않으면 엄청난 타격이 불가피하다.
이 때문에 이집트는 10년 가까이 국제 사회에 개입을 요청했다. 미국도 합의 없이 댐을 지어서는 안 된다고 에티오피아를 압박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와 아프리카연합 역시 팔을 걷어붙였다. 하지만 에티오피아는 꿈쩍도 않고 있다. 오히려 중립적 관찰자의 역할을 넘어서는 행위라고 미국을 강력히 비난했다.
그리고 올 7월 우기를 맞아 담수를 시작했다. 막사르테크놀로지스가 제공한 위성 사진을 보면 6월 26일만 해도 하류로의 흐름이 안정적이었던 나일강물은 본격적인 담수가 시작된 7월 12일을 전후로 댐에 가로막혀 흐름이 완전히 차단됐다.
아프리카연합이 14일 협상 자리를 마련했지만 에티오피아는 물을 채울 거라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그리고 합의 없이 협상이 결렬된 지 하루만인 15일 댐에 다시 물을 채우기 시작했다.
에티오피아 수자원부 장관은 15일 로이터통신에 “댐 건설과 물 채우기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댐 완공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다”며 담수 사실을 공식 확인했다. 525m였던 댐 수위는 현재 560m까지 높아진 상태다.
이 같은 에티오피아의 일방적 담수에 물싸움이 전쟁으로 비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전쟁설은 일찍이 1970년대부터 대두됐다. 당시 이집트 대통령이었던 안와르 사다트는 댐이 건설되면 전쟁을 불사할 것이라고 에티오피아를 위협한 바 있다. 이후 에티오피아가 댐 건설을 본격화하자 이집트는 군사력 동원을 시사하며 에티오피아를 위협하고 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