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코로나19 팬데믹의 발원, 최악의 홍수에 이어 메뚜기떼 공습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환구시보와 신화통신 등 현지 언론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지난달 28일부터 시작된 메뚜기 떼의 공격으로 국경지대인 윈난성이 이미 피해구역에 들어섰다.
윈난성의 장청현과 멍라현, 닝얼현 등 국경지대의 피해 면적은 92㎢(약 2700만 평)에 달한다. 이중 농지가 21.15㎢(640만 평), 숲이 68㎢(2060만 평)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을 덮친 메뚜기 떼는 올해 라오스 북부 지역에서 대량 번식에 성공한 것들로, 수 개월만에 기하급수적으로 개체 수를 늘린 뒤 활동 영역을 중국까지 확장했다. 이에 윈난성은 무인 드론 및 방제 인력 4만 명을 투입해 확산 방지에 나섰지만 피해규모는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현재 윈난성에서 대거 서식중인 메뚜기는 황색얼룩무늬 대나무 메뚜기로, 올해 초 아프리카를 강타했던 사막 메뚜기와는 다른 종이다. 활색얼룩무늬 대나무 메뚜기는 윈난성을 포함해 광둥성과 후난성, 쓰촨성 등 중국 중부에서도 관찰되며, 대나무 잎과 벼, 옥수수, 사탕수수를 먹어 치우는 등 농작물에 피해를 준다.
중국은 지난 2월 말, 소말리아와 에티오피아 등 동아프리카 국가에서 발원해 중동지역까지 초토화시켰던 사막 메뚜기 떼를 진압하기 위한 ‘10만 오리부대’를 준비하기도 했다.
일반적으로 오리 한 마리가 하루에 먹어치우는 메뚜기 수는 200마리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전문가들은 같은 가금류에 속하는 닭이 하루 동안 먹을 수 있는 메뚜기는 70마리에 불과한데, 메뚜기는 닭에 비해 식성이 좋은데다 메뚜기를 잡아먹도록 훈련된 오리의 경우 단숨에 400마리 이상의 메뚜기를 먹어치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었다.
그러나 오리는 물가에 사는 생물이라 사막 메뚜기가 주로 다니는 건조하고 더운 사막 지대에서 활동할 수가 없어 무산됐다.
전문가들은 현재 중국 남부에 이어지는 폭우와 홍수가 대규모 메뚜기 떼를 형성하기에 매우 좋은 조건이라는 점에서 더 큰 피해를 우려하고 있다.
한편 올 초 아프리카 일대가 4000억 마리에 달하는 메뚜기떼의 공습을 받은 뒤, 국제연합(UN)까지 나서 메뚜기 개체 수 증가 방지를 위한 1억 5300억 달러(한화 약 1864억 원)의 지원액을 내놓았다. 당시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이번 메뚜기 떼는 인류 역사상 최악의 규모로 발전했다”며 “발생지인 동아프리카를 중심으로 3500만 명이 식량난에 빠졌고, 피해지역도 확산 중”이라고 분석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