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멀 일반

폐그물에 결박된 향유고래 또 발견…잇단 ‘유령어구’ 잔혹사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 스페인 영국령 지브롤터 해협에서 이른바 ‘유령그물’에 결박된 향유고래가 또 발견됐다./사진=지브롤터 해양생물보호단체 ‘네레이스’(그리스신화 속 바다의 정령)
이른바 ‘유령그물’에 결박된 향유고래가 또 발견됐다. 22일(현지시간) 스페인 현지 매체인 지브롤터 클로니클은 남부 영국령 지브롤터 해협에 그물에 칭칭 감긴 향유고래가 나타나 환경당국과 동물단체가 수색에 나섰다고 보도했다.

해양생물학자 에바 카르피넬리는 “지난 10일 고래 사진을 찍으려 바다로 나갔다가 그물에 뒤엉킨 향유고래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강한 바람 등 궂은 날씨와 장비 부족 탓에 구조에는 실패했다. 카르피넬리는 “수색선에 실린 장비로는 어림없었다. 갑작스러운 악천후까지 겹쳐 그대로 복귀할 수밖에 없었다”고 안타까워했다.

확대보기
▲ 사진=지브롤터 해양생물보호단체 ‘네레이스’


확대보기
▲ 사진=지브롤터 해양생물보호단체 ‘네레이스’
그는 고래가 입을 포함해 머리부터 꼬리까지 유자망(흘림걸그물)에 꽁꽁 묶여 몸놀림이 매우 부자연스러웠다고 설명했다. 호흡도 불안정해 보였다고 말했다. 고래는 현재까지도 결박 상태로 바다를 떠도는 것으로 추정된다.

카르피넬리가 회장으로 있는 해양생물보호단체 ‘네레이스' 측은 관련 사진을 환경당국과 공유하고 고래를 계속 추적하고 있다. 단체 관계자는 “기상 여건이 좋아지는 대로 전문 잠수팀 도움을 받아 가능한 한 빨리 고래를 구조하도록 환경부와 조율 중”이라면서 “고래를 보면 바로 제보해달라”고 당부했다.


확대보기


확대보기
▲ 지난 19일에도 이탈리아 에올리에 제도 인근에서 폐그물에 걸린 향유고래가 발견돼 해안경비대가 구조에 나선 바 있다./사진=AP 연합뉴스
폐그물에 걸린 향유고래는 지난 19일 이탈리아 에올리에 제도 인근에서도 구조된 바 있다. 이탈리아 해안경비대는 한 달 전에도 같은 장소에서 불법어구에 결박된 또 다른 향유고래를 풀어줬다.

조업 중 유실됐거나 버려져 유령처럼 바다를 떠도는 폐그물은 해양 생태계에 심각한 위협이다. 유령그물에 걸려 죽은 물고기가 포식자를 유인해 다른 바다동물까지 연쇄적으로 그물에 얽히는 ‘고스트 피싱’(Ghost Fishing) 악순환도 큰 부작용 중 하나다.

확대보기
▲ 폐그물에 앞지느러미와 몸통이 결박돼 제대로 헤엄치지 못하는 혹등고래./사진=오션 아르머


확대보기
▲ 유령그물에 엉킨 새끼 바다사자가 해변에서 몸부림치고 있다는 신고를 받고 경찰이 출동한 사례도 있었다./사진=오션 아르머
우리나라도 해양 생물의 10%가 유령어구로 고통받고 있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사용 후 방치되는 폐그물은 연간 4만4000t에 이르며, 그로 인한 피해액도 매년 3700억 원에 달한다. 그러나 수거되는 물량은 절반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교사가 학생 1000여명 강간, 학대 사진 50만 장 남겨…
  • 회전하며 하루 8㎞ 북상…서울 6배 크기 ‘세계서 가장 큰
  • 도토리 먹던 다람쥐가…들쥐 사냥해 먹는 ‘육식 포식자’ 된
  • 월척인줄…필리핀 어부, 해상서 중국 것 추정 ‘수중 드론’
  • ‘친할아버지, 친부, 친삼촌’이 14세 소녀 강간, 임신 2
  • 클레오파트라의 실제 얼굴일까?…이집트서 추정 흉상 발견
  • ‘어머니·여동생 4명’ 총 5명 잔혹하게 살해한 男, 아버지
  • (영상)남편이 여객기 추락 직전 아내에게 보낸 ‘마지막 인사
  • 제자리 빙빙돌던 서울 6배 크기 ‘세계서 가장 큰 빙산’ 족
  • 동물 50만 마리, 한꺼번에 목 잘라…“신께 바치는 제물”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