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영국 유력 일간지 가디언과 한 인터뷰에서 이 같은 뜻을 밝힌 사람은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파리기후변화협약 협상 대표를 맡았던 토드 스턴 전 미국 기후변화특사다. 빌 클린턴 행정부 시절 고위 백악관 관리를 지냈던 토드 스턴은 오바마 전 대통령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파리 기후협약을 이끌어 낸 인물이다.
그는 가디언과 한 인터뷰에서 “만약 이번 미국 대선에서 바이든 후보가 승리한다면 (파리기후 협약 탈퇴는) 그저 일시적인 문제로 끝날 수 있다. 나쁜 꿈에서 깨는 것과 비슷하다. 하지만 트럼프가 재선에 성공한다면 그는 당선 바로 다음 날, 파리협약과 관련한 것들을 모두 봉인해 버릴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어 “트럼프가 이끄는 미국은 논 플레이어(non-player,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조정할 수 없는 케릭터)가 될 것이고, 파리협약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 돼 버릴 것”이라면서 “미국의 행동 없이는 파리협약의 목표는 절대 현실이 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2021년 1월부터 적용되는 파리기후변화협약에서 유럽연합은 1990년 배출량 대비 40% 감축을, 한국은 2030년 배출전망치 대비 37% 감축을, 일본은 2013년 배출량 대비 26% 감축을, 중국은 2005년 1인당 GDP 대비 60~65% 감축을 목표로 삼았다.
2015년 12월 채택 당시, 오바마 전 대통령 행정부는 미국이 기후변화에 맞서 싸우는 글로벌 리더가 돼야 하며, 이러한 행동과 결정이 중국과 인도 같은 온실가스 주요배출 개발도상국들을 친환경으로 이끌 수 있다고 강조했었다.
이러한 이유로 당시 미국은 2025년까지 2005년 배출량 대비 26~28% 감축하기로 약속했지만, 지난해 11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파리협약 탈퇴를 UN에 선언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성공이 전 세계 기후변화에 악영향을 가져올 것이라고 예측한 사람은 토드 스턴 전 기후변화특사만이 아니다.
1989년부터 2017년 초까지 미 국무부 기후변화 관련 법률자문으로 근무한 수전 비니아즈는 “(트럼프의) 관심사가 탄소배출량 목표치라면 파리협정에서 굳이 탈퇴할 필요까지는 없다”면서 “트럼프가 이끈 처음 4년 정도는 (기후변화와 파리협약에 대한) 일탈이라고 칠 수 있다. 하지만 8년의 시간동안 이러한 일탈이 이어진다면 전 세계가 똘똘 뭉치는 일이 매우 힘들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렇다면 기후변화 및 파리협약에 대한 바이든 민주당 후보의 입장은 어떨까. 바이든 캠프는 집권 후 대규모 ‘트럼프 지우기’ 작업을 진행할 것임을 예고했다. 지난 12일 미 온라인매체 악시오스는 “바이든은 취임 첫날 (트럼프가 탈퇴했던) 파리기후변화 협약 재가입 및 코로나19 대응 관련 새로운 국제 공조를 발표하면서 변화의 시작을 알릴 것”이라고 전했다.
토드 스턴은 “미국 유권자들은 이번 대선에서 자연스럽게 코로나19와 경제적 손실에 집중할 것이다. 하지만 이번 선거에서 ‘기후변화’를 읹어서는 안된다”면서 “코로나19 위기는 우리에게 일부 국가들이 매우 단시간에 그들이 믿는 것을 그대로 수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줬다. 이것은 기후변화에 대해 우리가 해야 할 일을 이해하는 리더가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고 말했다.
이어 “또 다른 운석(기후변화)이 우리를 향해 떨어지고 있다”며 기후변화와 파리협약을 무시하는 트럼프를 지구를 향해 돌진하며 위협하는 운석에 비유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