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일반

또 인간 때문에…멸종 몰린 가장 덩치 큰 ‘티티카카 왕개구리’ 아시나요?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현존하는 개구리 중 가장 덩치가 큰 종으로 알려진 ‘티티카카 왕개구리’를 멸종위기에서 건져내기 위한 공동작전이 전개된다. 27일(현지시간) 볼리비아 자연역사박물관은 “티티카카 왕개구리를 보호하기 위해 4개국 5개 기관이 힘을 모으기로 했다”고 밝혔다.

티티카카 왕개구리 보호를 위해 손을 잡기로 한 기관은 자연역사박물관(볼리비아), 카예타노 에레디아 대학과 내추럴-웨이(이상 페루), 덴버동물원(미국), 가톨릭대학 동물학박물관(에콰도르) 등이다. 티티카카 왕개구리 보호를 위한 프로젝트엔 유엔과 지구환경금융(GEF)이 지원을 약속했다고 한다.

자연역사박물관 관계자는 “티티카카 왕개구리를 멸종위기에서 건져내는 게 공동사업의 궁극적인 목표”라면서 “구체적인 행동계획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지 언론은 “티티카카 왕개구리에 대한 지식을 넓히고 생존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4개국 5개 기관이 공동노력을 약속한 자체로 큰 의미가 있다”면서 “특히 서식환경에 대한 연구와 왕개구리의 유전자 분석에 큰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보도했다.

티티카카 왕개구리(학명·Telmatobius culeus)는 지구상에 현존하는 개구리 중 가장 덩치가 큰 종으로 알려져 있다. 길이는 보통 145mm 정도지만 덩치가 큰 것은 길이가 500mm에 이르기도 한다. 티티카카 왕개구리는 해발 3800m 고산지대에 있는 볼리비아의 티티카카 호수와 인근, 페루 푸노에 서식한다.

가장 많은 왕개구리가 서식하는 곳은 단연 티티카카 호수다. ‘티티카카 왕개구리’라는 이름이 붙은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자연역사박물관 관계자는 “티티카카 왕개구리는 호수에서 태어나면 평생 티티카카를 떠나지 않는다”면서 “티티카카 왕개구리라는 이름이 붙은 데는 이런 이유도 있다”고 설명했다.


티티카카 왕개구리의 멸종을 생물학계가 걱정하게 된 건 2016년 티티카카 호수 주변에서 왕개구리 수천 마리가 떼죽음을 당한 채 발견되면서다. 당시 볼리비아 학계에선 “티티카카의 생태계가 농업과 플라스틱 쓰레기로 오염되면서 왕개구리들이 떼죽음을 당한 것 같다”는 분석을 내놨다. 이런 가운데 티티카카 왕개구리 사냥도 멈추지 않고 있다. 페루나 볼리비아의 전통시장에선 아직도 ‘개구리 주스’가 판매되고 있다. 티티카카 왕개구리를 재료로 만든 주스다.

티티카카 왕개구리가 정력에 좋다는 잘못된 설이 뿌리 깊어 개구리 주스를 즐기는 사람이 여전히 많은 탓이다. 왕개구리를 통째 말려 건어물처럼 팔거나 가죽을 벗겨 공예에 사용하기도 한다. 현지 언론은 “티티카카 왕개구리를 멸종위기에서 건지려면 무분별한 포획을 막기 위한 캠페인도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진=자연역사박물관

남미통신원 임석훈 juanlimmx@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교사가 학생 1000여명 강간, 학대 사진 50만 장 남겨…
  • 회전하며 하루 8㎞ 북상…서울 6배 크기 ‘세계서 가장 큰
  • 도토리 먹던 다람쥐가…들쥐 사냥해 먹는 ‘육식 포식자’ 된
  • 월척인줄…필리핀 어부, 해상서 중국 것 추정 ‘수중 드론’
  • ‘친할아버지, 친부, 친삼촌’이 14세 소녀 강간, 임신 2
  • 클레오파트라의 실제 얼굴일까?…이집트서 추정 흉상 발견
  • ‘어머니·여동생 4명’ 총 5명 잔혹하게 살해한 男, 아버지
  • (영상)남편이 여객기 추락 직전 아내에게 보낸 ‘마지막 인사
  • 제자리 빙빙돌던 서울 6배 크기 ‘세계서 가장 큰 빙산’ 족
  • 동물 50만 마리, 한꺼번에 목 잘라…“신께 바치는 제물”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