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화를 반복하고 있는 인도네시아 시나붕 화산의 인공위성 사진이 공개됐다. 미국 기상위성연구소(CIMSS)는 일본 히마와리8호 위성에 포착된 시나붕 화산 분화 당시 상황을 전했다.
공개된 이미지에는 10일(현지시간) 화산이 분화하면서 시나붕산 일대가 화산재로 뒤덮이는 모습이 담겨 있다. 같은 날 테라(Terra) 인공위성에 탑재된 모디스(MODIS) 센서에도 분화가 감지됐다.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북부에 위치한 시나붕 화산은 8일부터 분화를 반복하고 있다. ‘템포’ 등 현지매체에 따르면 8일 오전 1시58분 한 차례 분화한 시나붕 화산은 정상에서 2000m 지점, 해발 4460m 상공까지 화산재를 내뿜었다.
이틀 뒤인 10일(현지시간) 오전 10시 16분 분화 당시에는 산 정상에서 5000m 지점까지 화산재 기둥이 치솟았다. 인도네시아 화산지질재난예방센터가 공개한 CCTV에도 대규모 분화 장면이 고스란히 포착됐다.
폭발적으로 터져나온 화산재는 인근 4개 마을을 뒤덮었으며, 분화구에서 20㎞ 떨어진 곳까지 도달했다. 가옥과 농작물은 온통 잿빛으로 변했고, 화산재가 햇빛을 가리면서 주민들은 3시간 넘게 어둠과 싸워야 했다.
화산재 피해에 대비해 서둘러 감자를 수확하는 농민들도 눈에 띄었다. 현지 주민은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분화 당시 우뢰와 같은 소리가 사방을 흔들었다. 약 30초 정도 지속됐다”라고 밝혔다. 현재까지 보고된 인명피해는 없으며, 대피 명령이 내려지지 않아 주민들은 집에 머물며 화산재로 엉망이 된 가옥과 농장을 청소하고 있다.
수세기 동안 숨죽이고 있던 시나붕 화산은 2010년 410년 만에 분화했다. 당시 34개 마을 주민 3만 명이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이후 2013년~2017년까지 화산 활동이 계속됐으며 2014년과 2016년 각각 16명, 7명이 사망했다. 이에 따라 재난 당국은 시나붕 화산 경보단계를 가장 높은 4단계에서 3단계로 조정한 후, 화산 정상에서 반경 3㎞, 남동구역 5㎞, 북동구역 4㎞ 이내 접근을 금지했다.
인도네시아 화산지질재난예방센터(PVMBG) 시나붕 관측소는 “화산 근처에서 여러 차례 지진이 감지됐다. 이것은 분화의 징후”라면서 “앞으로 더 많은 분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또 “화산에서 뿜어져나온 화산재가 땅에서 5㎝ 높이까지 쌓였다”면서 마스크나 개인 보호장비를 꼭 착용해 화산재 피해를 예방하라고 권고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