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 와일드라이프 관계자들은 지난해 11월 ‘통조림 사냥’ 실태 파악과 ‘사냥용 사자’ 구조를 위해 남아공의 한 농장으로 향했다. 그곳에서 빛도 들지 않는 좁은 헛간에 갇힌 사자 10마리를 구출했다. 단체 측은 “제대로 먹지도 못한 채 더럽고 좁은 우리에 갇혀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리던 사자 10마리를 구출했다. 모두 보호구역으로 옮겼다”고 밝혔다.
구출된 사자들은 사냥꾼 총에 맞아 죽을 운명이었다. 초원에 있어야 할 사자들은 왜 농장에 갇힌 사냥감 신세로 전락했을까.
가난한 아프리카 국가에게 야생동물은 훌륭한 장삿거리다. 아프리카 중서부에서 사냥한 야생동물을 전리품으로 가져가는 ‘트로피 사냥’(Trophy hunting)이 성행하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은 한술 더 떠 ‘통조림 사냥’을 관광 상품으로 내세우고 있다. 트로피 사냥이 일정 구역 내에 서식하는 동물을 사냥해 가져가는 것이라면, 통조림 사냥은 그보다 더 좁은 사육시설에서 철저하게 사냥용으로 사육된 동물을 사냥한다. 트로피 사냥처럼 굳이 동물을 쫓아다니지 않아도 성공 확률은 100%다.
적게는 2만 달러, 많게는 5만 달러를 지불하면 사냥용으로 사육하던 사자를 마취해 사냥꾼 눈앞에 데려다준다. 사냥꾼은 먹이로 유인한 사자를 쏘아 죽이기만 하면 된다.
현재 남아공 160개 농장에 갇힌 사자 5000마리가 이런 통조림 사냥용으로 사육되고 있다. 남아공 야생에 서식하는 사자가 불과 2000마리 수준인 걸 고려하면 훨씬 많은 숫자다.
상황이 이런데도 통조림 사냥은 여전히 성행 중이다. 각국이 사냥 전리품 반입을 금지하는 등 규제에 나섰지만 역부족이다. 남아공에서만 매년 1000마리 이상이 통조림 사냥에 희생되고 있다. 죽은 사자 일부는 중국으로 흘러 들어가 약재 시장에서 호랑이 뼈 대신 암거래되기도 한다.
프로 와일드라이프 측은 “사냥꾼은 자신이 죽이고 싶은 사자를 고르고 차 안에 앉아있는 것만으로도 손쉽게 사자를 죽일 수 있다”면서 사자 보호에 대한 관심을 촉구했다. 아프리카 26개 국가에 서식하는 사자는 2만 마리 정도로 심각한 멸종 위기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15년 후면 개체 수가 현재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