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베리아 노보시비르스크 연방기초전염의학연구센터 수석연구원인 체푸르노프 박사는 지난 2월 말 프랑스 스키 여행 도중 코로나19에 감염됐다. 그는 “프랑스에 도착하자마자 고열과 날카로운 가슴 통증이 나타났다. 후각도 사라졌다”고 설명했다. 귀국 직후에는 폐렴 진단을 받았다.
완치 후 박사는 본격적으로 코로나19 연구에 뛰어들었다. 완치자가 보유한 항체가 얼마나 오래 유지되는지, 재감염 시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고 싶어 다시 코로나19 환자가 되기를 자청했다.
연구를 위한 자발적 재감염이었다. 박사는 “연구를 위해 나는 ‘인간 기니피그’가 됐다. 아무 보호장비 없이 급성 코로나19 환자와 의도적으로 접촉했다”고 밝혔다.
재감염 증상은 첫 감염 때보다 훨씬 심각했다. 결국 병원 신세를 진 그는 “처음 5일간 체온이 39도를 유지했다. 후각도 사라졌다. 엿새째 폐 CT를 찍었을 때는 이상이 없었는데, 사흘 후 재검해 보니 엑스레이상 폐렴이 관찰됐다”고 설명했다. 바이러스는 오히려 빨리 사라져 2주 후에는 아예 검출되지 않았다고 부연했다.
자발적 재감염을 통해 박사는 ‘집단면역은 어불성설’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첫 감염 후 형성된 항체는 3개월이면 사라진다. 완치되더라도 6개월 후면 재감염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앞으로도 계속 인류와 공존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사는 “항체도, 백신 효과도 일시적일 가능성이 높다. 여러 번 접종할 수 있는 백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런 맥락에서 재조합 백신은 적합하지 않다고도 말했다.
재조합 백신은 인체에 무해한 바이러스에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자를 끼워 넣는 방식의 백신이다. 현재 각국이 아데노바이러스5(Ad5)를 이용해 코로나19 바이러스 항원 유전자를 인체 내에 전달하는 방식의 벡터(전달체) 백신을 개발 중이다. 박사는 “한 번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방식의 백신을 투여하면 반복 접종할 수 없다. 면역력이 계속 간섭해 치료 물질 전달을 방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방식의 백신은 안전성 의심도 받고 있다. 해외 연구진 일부는 해당 백신이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지난 8월 러시아 정부가 세계 최초로 공식 승인(등록)한 코로나19 백신 ‘스푸트니크 V’도 같은 방식이다. 승인 당시 체푸르노프 박사는 “백신 임상 시험에 대한 정보가 너무 제한적이며, 이는 좋은 신호가 아니”라고 꼬집었다. 체푸르노프 박사는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는 러시아 연구소 3곳 중 하나인 벡터(Vektor) 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하지만 러시아는 해당 백신에 대한 비상사용 허가를 세계보건기구(WHO)에 신청한 상태다. 또 이달 14일 개발된 두 번째 백신 ‘에피박코로나’도 공식 승인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