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일반

가슴에 구멍이…2㎝도 안 되는 청개구리 수술 성공한 호주 수의사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 가슴에 구멍이…2㎝도 안 되는 청개구리 수술 성공한 호주 수의사
호주에서 몸길이가 2㎝도 안 되는 청개구리 한 마리가 무언가에 다쳤는지 가슴 부위에 구멍이 난 채로 발견됐지만, 한 유능한 수의사에게 수술을 받고 목숨을 건질 수 있었다는 놀라운 소식이 전해졌다.


ABC뉴스 등 현지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달 초 브리즈번 인근 와콜 지역에서 가슴 부위에 조그만 구멍이 난 채 발견된 청개구리 한 마리는 현지 야생동물 전문 수의사 메건 배로 박사 덕에 제2의 삶을 살게 됐다.

다친 청개구리는 당시 호주 왕립동물학대방지협회(RSPCA) 퀸즐랜드지부 소속 시설에서 코알라에게 먹일 유칼립투스 나뭇잎을 채집하던 한 간호사에게 발견됐다. 당시 간호사가 나뭇잎을 따던 중 개구리를 발견했는데 몸에 응어리 같은 무언가가 있어 서둘러 시설에서 근무하는 배로 박사를 데려왔다는 것이다.

확대보기
현장에 도착한 배로 박사는 즉시 다친 개구리를 살폈고 가슴 부위에 지름 몇 ㎜ 수준의 작은 구멍이 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상처는 개구리의 몸길이가 2㎝도 안 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꽤 큰 것이었다. 그리고 간호사가 응어리라고 생각했던 무언가는 가슴에 난 구멍으로 돌출됐던 폐와 창자였다. 개구리는 그야말로 심각한 중상을 입었던 것이다.

확대보기
배로 박사는 지금까지 크고 작은 다양한 야생동물을 수술하거나 치료한 경험이 풍부했지만, 이번 개구리는 역대 '환자' 가운데 가장 몸집이 작고 피부마저 민감해 어떤 수술 도구를 사용해서 상처 부위를 어떻게 봉합해야 할지를 놓고 고심할 수밖에 없었다.

얼마 뒤 수술 계획을 세운 이 전문의는 우선 마취를 통해 개구리가 충분히 진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했다. 작은 청개구리가 감각을 느끼지 않고 잠드는 데 필요한 마취제의 양은 극소량이면 충분해 농도를 1000분의 1로 희석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그녀는 또 바늘과 봉합사도 매우 작은 것을 준비해 사용했다. 그중에서도 특히 어려웠던 점은 손떨림을 억제하는 것이었다고 배로 박사는 추후 인터뷰에서 털어놨다.

배로 박사는 “그의 피부는 꽤 얇았다. 피부로 호흡하는 개구리와 같은 피부는 기본적으로 얇고 민감한 편인데 이번에는 정말 어려웠다”고 회상했다.

확대보기
이 수의사는 녹는 타입의 봉합사 1개를 사용해 구멍을 봉합하는 것으로 수술을 마쳤다. 그 결과 청개구리는 다음날부터 펄펄 뛸 정도로 건강해지고 체색도 청록색으로 돌아왔다. 청개구리는 수술이나 부상으로 몸이 갈색으로 변할 수 있는데 이번 개구리는 금세 밝은 초록색을 되찾아 보기에도 기운을 찾은 것 같았다.

한편 청개구리는 수술이 끝난 뒤 작은 밀웜을 먹이로 받아 먹고 진통제와 항생제를 맞으면서 순조롭게 회복해 일주일 만에 다시 야생으로 돌아간 것으로 전해졌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교사가 학생 1000여명 강간, 학대 사진 50만 장 남겨…
  • 회전하며 하루 8㎞ 북상…서울 6배 크기 ‘세계서 가장 큰
  • ‘친할아버지, 친부, 친삼촌’이 14세 소녀 강간, 임신 2
  • 도토리 먹던 다람쥐가…들쥐 사냥해 먹는 ‘육식 포식자’ 된
  • 월척인줄…필리핀 어부, 해상서 중국 것 추정 ‘수중 드론’
  • ‘어머니·여동생 4명’ 총 5명 잔혹하게 살해한 男, 아버지
  • (영상)남편이 여객기 추락 직전 아내에게 보낸 ‘마지막 인사
  • 제자리 빙빙돌던 서울 6배 크기 ‘세계서 가장 큰 빙산’ 족
  • “집단 강간당하던 10대 소년 모습 생생해”…민주화 외쳤던
  • 범행 직후 모습 공개…‘산 채로 불타는 모습’ 지켜본 뉴욕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