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일반

칠레 이스터섬 주민들 “코로나 무서워…관광객 입도 반대 67%”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 사진=123rf
모아이 석상으로 널리 알려진 칠레 이스터섬의 주민들이 당분간 외부 관광객을 받지 말자며 주민투표에서 무더기 반대표를 던졌다. 관광에 생계를 건 이스터섬이지만 당장은 경제보다 코로나19가 더 걱정된다는 민심이 투표로 드러난 셈이다.

칠레 현지 언론에 따르면 24일(현지시간) 이스터섬에서 실시된 관광재개 찬반 투표는 '반대'로 막을 내렸다. 코로나19로 2년 가까이 실시되고 있는 외부인 입도 금지령을 풀 것인지 주민들의 의견을 묻는 투표에서 주민 67%는 "당분간 외부인을 받아선 안 된다"며 반대표를 던졌다.

라파누이 원주민 출신이 대부분인 이스터섬의 주민은 약 1만여 명. 하지만 투표한 주민은 972명에 불과해 투표율은 10%에 채 이르지 않았다.

칠레 언론은 "비록 투표율이 저조했지만 투표를 통해 드러난 민의는 당국의 방침과 상충돼 귀추가 주목된다"고 보도했다. 칠레 정부와 이스터섬 당국은 아직 향후 방침에 대한 입장을 정리해 발표하지 않고 있다.

일부 언론은 "이번 투표의 진정한 승자는 코로나19에 대한 공포"라며 "비록 투표 결과에 강제성은 없지만 당국은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보도하기도 했다.

칠레 본토로부터 3700km 떨어져 있는 이스터섬은 사실상의 코로나19 안전지대다. 지난해 3월 남미에 코로나19가 상륙한 뒤 이미 2년 가까운 시간이 흘렀지만 지금까지 이스터섬에선 확진자 8명이 나왔을 뿐이다. 사망자는 단 1명도 없었다.

완전접종률 70%를 일찌감치 돌파한 칠레의 섬답게 이스터섬 주민 대부분은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완료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이 코로나19 걱정을 떨쳐내지 못하는 건 열악한 의료환경과 지리적 특성 때문이다.

이스터섬 주민들의 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항가로아 의료센터는 중환자 병상을 단 1개도 갖추지 못하고 있다. 중증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온다면 당장 치료에 애를 먹을 수밖에 없다. 중증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 대륙으로 후송하는 것도 쉽지 않다. 비행기를 띄워도 칠레 본토까지 도착하는 데는 꼬박 5시간30분이 걸린다.


하지만 당국은 "섬의 미래를 위해선 이제 관광을 천천히 풀 때가 됐다"는 입장이다. 자치회 지도자 살바도르 아탄은 "이제는 (경제를 위해) 관광객 입도 금지령을 풀 때가 됐다"며 "이제부터 연말까지 단계적으로 준비를 해야 내년 1월부터 관광객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칠레 보건부도 비슷한 입장이다. 칠레 보건부는 그러나 아직 주민투표 결과와 관련해 논평을 내지 않고 있다. 보건부가 주민들의 눈치를 보고 있는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손영식 해외통신원 voniss@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아내가 여행 가서 가능”…6~14세 딸 강간·촬영·공유한
  • “옆자리에 ‘죽은 사람’이 앉았어요”…4시간 함께 비행기 탄
  • (영상) 클럽서 춤추고 돈 뿌리고…트럼프 ‘가자 홍보’에 비
  • 멀리 지구가…美 극비 우주선 X-37B 촬영한 첫 이미지 공
  • 점령할 때는 좋았는데…결국 우크라이나에 ‘수렁’ 된 러 쿠르
  • 손 잘린 시신 9구, 고속도로에서 발견…“카르텔 조직의 ‘보
  • “어떤 곳이든 30분내” 美 차세대 ICBM ‘센티넬’ 지상
  • “검사하게 옷 벗고 뛰세요” 여성 환자 불법 촬영한 의사 체
  • 귀엽지가 않아…미국서 잇따라 포착된 ‘거대 금붕어’ 원인은?
  • (영상) 트럼프 다리, 왜 이래?…휜 다리로 절뚝거리는 모습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