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물에서 기습해 끌고 들어가는 사냥법은 간단한 것 같아도 사실 상당히 전문적인 기술이다. 물속에서 참을성 있게 오래 기다렸다가 적절한 타이밍과 위치에서 기습하는 것은 물론이고 발버둥치는 먹이를 놓치지 않게 잡을 수 있는 큰 입과 강한 턱 힘, 그리고 사냥감을 물속으로 끌고 들어갈 수 있는 큰 덩치와 힘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냥감이 익사할 때까지 물속에서 버텨야 한다. 이를 위해 악어는 숨을 쉬지 않고도 오래 잠수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을 뿐 아니라 입을 벌린 상태에서도 물을 마시거나 흡인하지 않게 막아주는 구조물이 있다.
악어류의 목에 있는 경구개막 (palatal valve)은 악어가 입을 벌린 채 물에 들어가도 식도와 폐로 물이 들어가지 않게 막아준다. 악어가 큰 입을 지녔지만, 물을 먹지 않고 사냥감만 물고 들어갈 수 있는 데는 이런 비결이 숨어 있었던 것이다. 과학자들은 경구개막의 진화가 최소한 쥐라기나 혹은 그 전에 이뤄졌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뼈와는 달리 화석화가 힘든 연조직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증거를 찾기는 어려웠다.
일본 훗카이도 대학, 일본 군마 자연사 박물관, 캐나다 칼턴 대학의 과학자들은 쥐라기 후기 악어의 화석에서 경구개막의 증거를 찾아냈다. 연구팀은 1993년 미국 와이오밍주에서 발견된 후 오랜 세월 자세히 분석되지 않고 군마 자연사 박물관에 보존된 쥐라기 악어 화석을 조사했다. 그 결과 이 화석이 아직 학계에 보고되지 않은 신종 화석으로 고대 악어류인 고니오포리디드 (Goniopholidid)의 일종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암피코틸루스 밀레시 (Amphicotylus milesi)라고 명명된 이 고대 악어는 몸길이 2.3m에 몸무게 227kg의 중형 악어로 사냥감을 물속으로 끌고 들어가는 현대 악어와 매우 유사한 골격 구조를 지니고 있다. 연구팀은 매우 완벽하게 보존된 화석 덕분에 경개구막이 있었던 증거를 찾을 수 있었다. 물론 부드러운 조직인 경개구막 자체는 화석으로 남지 않았지만, 연구팀은 경개구막과 혀를 지지하는 뼈의 형태로 볼 때 암피코틸루스 밀레시가 경개구막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주장했다. 덕분에 복원도처럼 물속에서 입을 벌리고 사냥감을 기다릴 수 있었다.
악어류는 적어도 쥐라기부터 지금까지 최소 1억 5천만 년 이상 물속에서 성공적으로 먹이를 사냥했다. 단순해 보이지만, 매우 효과적인 사냥법 덕분에 비조류 공룡이 번생했던 시기부터 지금까지 여전히 강력한 포식자로 번영을 누리고 있다. 이런 성공의 비결에는 경구개막처럼 작지만 무시할 수 없는 악어만의 무기가 존재한다. 작은 차이가 명품을 만든다는 이야기는 자연계에서도 예외가 아닌 셈이다.
고든 정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