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에서 웅덩이 속을 들여다본 사진작가 클레어 이슨은 10일(현지시간) 데일리메일에 “2003년만 해도 작은 구멍이었던 것이 오랜 세월을 거치며 거대한 야수로 변했다. 웅덩이는 별다른 것 없는 해안마을에 이야기를 더해주었다”고 말했다.
웅덩이는 해안절벽 끄트머리에 자리하고 있다. 웅덩이 저 깊은 곳 작은 틈 사이로 파도가 들이치는 모습은 장관이다.
연구경력 40년의 지질학자 바네사 뱅크스는 이 웅덩이가 석회암 지대에서 볼 수 있는 함몰지 ‘돌리네’(Doline)라고 설명했다. 돌리네는 석회암이 빗물이나 지하수에 녹아 형성된 접시형 와지(웅덩이)를 말한다. 지름 10~1000m, 깊이 2~100m로 크기는 다양하다.
카르스트 지형은 크게 지상 지형과 지하 지형으로 구분된다. 대표적인 지상 카르스트 지형이 바로 돌리네다. 지하 카르스트 지형으로는 석회암 동굴을 들 수 있다.
돌리네는 형성 원인에 따라 용식 돌리네와 함몰 돌리네로 나뉜다. 용식 돌리네는 석회암이 물에 녹으면서 서서히 파인 것이고, 함몰 돌리네는 지하 빈 곳으로 지표가 꺼지면서 생긴 것이다. 용식 돌리네와 비교해 함몰 돌리네는 측벽이 가파른 것이 보통인데, 그 크기와 모양은 동굴 천장이 어떻게 무너지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함몰 돌리네도 오랜 시간이 지나면 용식 돌리네와 구분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위트번시 해안가 돌리네는 함몰 후 용식이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뱅크스 박사는 “공극(air gap), 즉 토양 입자 사이에 틈이 생기면 물이 들어차면서 지층의 응집력과 지반의 저항력이 감소한다. 지반에 구멍이 생기기 전 이미 지층에 공간이 생겼을 가능성이 크다. 8만~1만 년 전 지구의 ‘마지막 최대 빙하기’(LGM) 때부터 퇴적층 침하가 시작됐을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