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이웃 행성인 금성은 이산화탄소가 대부분인 두꺼운 대기와 뿌연 구름에 가려있어 정교한 레이더 및 적외선을 통해서만 그 속을 들여다 볼 수 있었다. WISPR로 포착한 영상과 이미지를 보면 금성 표면의 대륙, 평야, 고원 등이 흐리게 드러나고 희미한 빛도 보인다. 다만 이미지가 우리가 상상하는 아름다운 행성 표면의 모습이 아닌 것은 WISPR가 태양이 뿜어내는 태양풍, 곧 하전된 입자의 흐름과 코로나 질량방출을 가시광선 이미지로 잡아낼 수 있도록 설계된 장비이기 때문이다.
NASA에 따르면 PSP는 지난 2020년 7월과 지난해 2월 금성을 근접비행(플라이바이)하며 WISPR의 이미지를 얻었다. 논문의 선임저자 브라이언 우드 미 해군연구소 연구원은 "금성은 너무 뜨거워 암석 표면이 마치 대장간에서 뽑아낸 쇳조각처럼 눈에 띄게 빛난다"면서 "WISPR은 표면에서 발산하는 엄청난 열로 인해 이 희미한 빛을 포착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같은 관측은 금성 지표면의 지질학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PSP는 태양 코로나와 태양풍에 얽힌 수수께끼들을 풀기위해 지난 2018년 8월 12일 발사됐다. 특히 지난해 12월 PSP는 인류의 피조물 중 가장 빠른 속도로 사상 처음으로 태양을 ‘터치’하는 역사적인 기록을 세웠다. 태양을 터치했다는 것은 태양 대기의 상층부, 곧 코로나 속을 비행하는데 성공했다는 의미다.
특히 오는 2024년 PSP는 최고 시속 69만㎞로 태양에 620만㎞까지 접근할 예정인데 이처럼 PSP가 엄청난 속도를 내며 태양 궤도를 선회하는 이유는 태양의 가공할 중력을 버티기 위해서다. 이를 위해 금성은 절대적인 도움을 준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