껍질, 파편을 뜻하는 오스트라카(단수형은 오스트라콘)는 고대 이집트에서 종이 역할을 대신했다. 파피루스로 만든 종이가 매우 귀하던 시절, 고대 이집트인들은 도기 조각 ‘오스트라카’를 종이처럼 썼다.
독일 발굴단은 이집트 수도 카이로에서 북쪽으로 40㎞ 떨어진 칼리우비야 반하 지역에서 1만 8000점에 달하는 오스트라카를 발굴했다. 고대 하부 이집트의 도시 아트리비스가 있던 자리다. 아트리비스에 대한 기록은 이집트 제5왕조 고왕국 시기(기원전 2498~2345년) 두 번째 파라오 사후레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1789년 프랑스 고고학자들이 처음 아트리비스 발굴을 시작했으며, 이 고대 도시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출토된 오스트라카에는 고대 이집트인들의 생활상이 고스란히 적혀 있었다. 각종 계약, 회계, 판매 내역이 도기 조각에 기록돼 있었다. 튀빙겐대학교 이집트학자 크리스티안 레이츠 교수는 “신(神), 기하학 문양, 전갈과 제비 등 동물을 묘사한 그림도 많이 발굴됐다. 이렇게 많은 양의 기록 유물이 한꺼번에 출토된 건 드문 일이다”라고 설명했다.
대부분의 오스트라카에는 클레오파트라의 아버지 프톨레마이오스 12세(기원전 117~51년)가 통치하던 시절 이집트 민중문자 ‘데모틱’이 사용됐다. 그러나 특수 지배계층 사이에서 통용되던 성각문자 ‘히에로글립스’와 그리스어, 콥트어, 아랍어, 상형문자가 적힌 오스트라카도 여럿이었다. 발굴단은 다양한 언어가 사용된 고대 도시 아트리비스의 격동적 생활상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밝혔다.
일부는 고대 이집트 학교에서 학생들이 공책처럼 쓴 것으로 추정됐다. 레이츠 교수는 “날짜 계산, 숫자 계산, 산술 문제, 문법 연습 흔적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속칭 ‘깜지’라 불리는 받아쓰기 벌칙이 드러난 오스트라카도 100여 점 이상이었다. 발굴단은 “앞면과 뒷면 모두 같은 글자가 빼곡한 오스트라카가 많았다”면서 2000년 전 고대 이집트 학교의 교육 방식이었던 것 같다고 전했다.
사이언스 알러트에 따르면 이렇게 많은 오스트라카가 발견된 건 1900년대 초 이후 처음이다. 당시 나일강 하류 고대 유적지 데이르 엘 메디나에서 무더기로 발견된 오스트라카는 그러나 대부분 의학과 의료행위에 관한 기록이었다. 이번에 발굴된 오스트라카는 고대 이집트의 실생활이 어땠는지 더 많은 정보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