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티 자일라 모드 유소프 말레이시아 여가부 차관은 11일(현지시간)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남편이 아내를 꾸짖는 방법’이라는 2분짜리 동영상을 올렸다. 차관은 ‘어머니의 조언’이라는 제목의 교육 동영상을 연재 중인데, 해당 동영상은 그 4번째 순서로 마련됐다.
“버릇없고 고집 센 아내들이 있다”고 말문을 연 차관은 “고분고분하지 않은 아내와는 3일간 각방 쓰라”고 충고했다. 그러면서 “만약 아내가 분리 수면 후에도 여전히 뻣뻣하게 나오면, 가벼운 구타 등 신체적 접촉을 시도하라”고 조언했다. 차관은 “남편은 엄격한 훈육 의지 피력을 위해 아내를 가볍게 좋다”고 말했다.
이어 “아내는 남편 허락이 떨어질 때까지 기다렸다가 말하라”고 강조했다. 차관은 “남편이 식사와 기도를 마치고 마음이 느긋하고 평온해지면 그때 말하라. 말하기 전에는 먼저 남편 허락을 구하라”고 충고했다.
현지 여성인권단체들은 여가부 차관이 가정폭력을 정당화하고 있다고 즉각 반발했다. ‘양성평등을 위한 공동행동단’(JAG)은 “여성의 안전과 보호를 위해 성평등을 지지해야 하는 여가부 차관이 양성평등을 부정하고, 혐오를 조장했다”고 지적했다. 또 “차관은 여성의 존엄성을 짓밟았으며, 여성이 모멸적 대우로부터 자유로울 권리를 부정했다. 심각한 잘못이며, 실패한 리더십을 보여주는 것이다”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유소프는 이슬람 원리주의 정당인 말레이시아이슬람당(PAS) 의원 출신으로 2020년 3월 여성가족개발부 차관에 임명됐다. 임명 당시부터 현지에선 여권 후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유소프 차관은 2017년 국회의원 신분일 때도 “미성년자의 결혼은 논란이 되어서는 안 된다. 그것은 알라의 인도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다”라고 말해 물의를 빚었다.
여가부가 공개한 관련 홍보물에는 △집에서 일할 때도 화장을 하고 옷을 갖춰 입으라 △가족들을 무시할 정도로 오랫동안 재택근무를 하지 말라 △남편이 잘못했을 때 ‘도라에몽 목소리’처럼 익살스러운 목소리와 말투로 즐겁게 대화를 나누고, 잔소리를 피하라 △남성이 집안일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비난하기보다 가르쳐주라 △화가 나도 일단 1부터 20까지 숫자를 세라는 내용이 담겼다.
여가부는 이후 “코로나19 예방과 이런 성차별적 권고가 무슨 상관이 있느냐”는 항의가 잇따르자 해당 홍보물을 삭제했다. 사이다투 아크마 하산 말레이시아 여성가족개발부 장관은 “몇몇 권고가 부적절하다고 본 분들에게 사과드린다. 앞으로 더욱 주의를 기울이겠다”고 사과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