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에서는 ‘익티오사우루스’(ichthyosaurs)라 부르는 어룡은 ‘물고기 도마뱀’이라는 뜻으로 전체적인 생김새는 지금의 돌고래와 비슷하다. 폐로 숨을 쉬는 어룡은 상어와 같은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어 물 속에서 빠르게 헤엄쳐 바다에서는 최상위 포식자 중 하나로 군림했다.
이번에 어룡으로 확인된 화석들은 모두 세 마리의 것으로 이미 30여 년 전 발굴됐으나 그 가치를 모르다가 최근에서야 분석을 통해 뒤늦게 빛을 본 사례다. 연구팀에 따르면 어룡 화석은 갈비뼈, 등골뼈 등으로, 생전 길이가 각각 20m, 18m, 15m의 거대한 덩치를 가진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이번 어룡 화석에서는 이빨이 주목을 받았다. 화석으로 측정된 이빨뿌리의 지름이 60㎜로 측정됐으며 현재까지 확인된 어룡 두개골에서 나온 이빨뿌리의 20㎜ 기록을 가볍게 뛰어넘었다.
연구를 이끈 마틴 샌더 교수는 "거대한 덩치를 가진 어룡의 기준을 고려하더라도 이빨뿌리가 크다"면서 "이처럼 큰 이빨을 가진 거대 어룡은 오늘날의 향유고래와 범고래와 비슷하게 사냥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어룡은 한때 지구의 바다를 지배했지만 화석이 드물기 때문에 고생물학자들에게 큰 미스터리를 남겼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번 화석에서 한가지 더 흥미로운 사실은 바다에 사는 어룡이 왜 알프스 고지대에서 발견됐느냐는 점이다. 이에대한 해석은 이번 연구의 공동저자이자 스위스 취리히 대학 은퇴 교수인 하인츠 푸러가 내놨다.
푸러 교수는 "약 2억 년 전 쯤 어룡들이 물고기떼를 따라 석호로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후 9500만 년 전 아프리카 지각판이 유럽 지각판을 밀어내기 시작하면서 그 움직임으로 인해 어룡 화석이 산꼭대기에 있는 암석층으로 밀려났다"고 설명했다.
한편 어룡은 2억 5000만년 전 지구상에 처음 나타나 1억 5000만 년 이상이나 번성한 수서 파충류로, 공룡과 계통은 다르다. 일반적으로 미국과 유럽대륙의 광범위한 곳에서 화석이 발견되며, 겉모습은 고래 또는 돌고래와 유사하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