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자를 밝히기 위해 각 시신에서 채취된 혈액과 차량에서 채취된 증거물과의 동일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전자분석을 실시하였다. 채취한 시료들에 대해 유전자분석을 한 결과는 놀랄만한 것이었다. 유전자분석 결과가 사건의 내용과는 너무 다르게 나왔기 때문이었다. 운전한 것으로 보이는 사람 혈액에서 여성의 유전자형이 검출되었고 차량에서 채취한 시료와 전혀 다른 유전자형이 검출된 것이다.
실험을 담당했던 연구원이 너무 이상해서 혹시나 하는 마음에 부검 당시 찍은 사진을 요구하여 부검 당시 시신의 모습을 관찰하였다. 분명히 그에게는 남성의 상징이 있었다. 피해자는 남성이 분명하였다.
“그러면, 어떻게 된 것인가?”
“또 다른 운전자가 있었는데 여성이다?”
“혹시, 피해자가 트랜스젠더?”
하지만 수술을 한 기록도 없고 수술을 한 흔적도 없었다. 그러면 어떻게 된 것일까? 그리고 목격자들의 진술에 의하면 그곳을 탈출하거나 구조된 사람은 없었다고 했다.
“혹시 증거물이 바뀐 것은 아닌가?”
여러 가지 있을 수 있는 상황을 확인하였지만 바뀔 수 있는 가능성이 전혀 없었다.
“그러면, 실험과정에서 잘 못 된 것은 아닐까?”
그 때 당시 실험한 다른 사건들을 모두 검토하였으나 전혀 오류를 발견할 수 없었다. 그렇다면 어떻게 된 것인가.
모든 것을 원점에서부터 다시 시작하기로 하였다. 부검 당시 채취한 변사자의 장기 조직을 다시 보내줄 것을 요구하고 이에 대해 재실험을 하기로 하였다. 혹시 바뀌었을 지도 모르기 때문에 확인하기 위한 마지막 수단이었다. 만약에 똑같은 유전자형이 검출된다면 보다 근본적인 원인을 생각해야 되고 그렇지 않다면 여러 가지 과정에 대해 정밀하게 그 원인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먼저, 의뢰되었던 혈액 그리고 새로 의뢰된 조직에 대해 모두 재실험을 하였다. 분석 결과 일부 조직에서는 혼합반, 일부 조직에서는 남성 유전자형이 검출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전자분석의 경우 혈액을 분석하든, 조직을 분석하든, 모발을 분석하든 같은 사람으로부터 유래된 시료에서는 모두 같은 유전자형 검출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상황으로는 해석이 안 되었다. 분명히 무슨 특별한 상황이 있는 것이었다. 한 사람의 시료에서 혼합된 유전자형이 검출되었다는 것은 특별한 경우 (성범죄의 경우 남성의 정액반과 여성의 질내용물이 혼합된 경우가 많음)가 아니면 나타날 수 없는 결과이다.
사건 담당 경찰관에게 전화를 하여 사건과 관련된 여러 가지 의문 사항에 대해 문의하였다. 그러던 중 그가 백혈병 환자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백혈병?”
그가 백혈병을 앓았었다는 것은 위와 같은 황당한 분석 결과에 대한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었다. 즉, 혈액과 조직에서의 유전자형이 다르고 조직에서의 혼합 유전자가 검출된 원인을 설명할 수 있는 계기가 된 것이었다.
백혈병은 백혈구가 무제한으로 증가하는 질병으로 백혈구가 이상적으로 증가하여 빨간색을 띠는 혈액이 흰색을 띠기 때문에 백혈병이라고 한다. 백혈병은 일종의 조혈조직 악성종양 (혈액을 만드는 조직에서 일어나는 암)의 일종으로 혈액암이라고도 한다.
백혈병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듯이 매우 치료가 어려운 병이다. 요즘은 치료 방법이 발달하여 많은 사람들이 완치되고 있지만 옛날에는 불치의 병으로 여겨왔다. 이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화학요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근본 치료를 위한 방법으로 골수이식을 한다. 하지만 골수이식은 적합한 골수 제공자가 있어야 하고 이식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이 변사자의 경우 골수이식을 받았다고 한다. 수술도 잘 되었고 치료도 잘 되어 이식을 받은 골수가 잘 활착되어 정상적인 혈액을 생산할 수 있을 정도로 호전된 사람이었다. 따라서 이식된 골수에서 정상적으로 생산된 혈액은 골수의 제공자인 여성의 유전자형이 검출되었던 것이었고 조직에서는 본인의 유전자형이 검출되었던 것이었다.
즉, 이식받은 골수가 피해자의 몸에서 잘 활착하여 혈액을 만들어내고 있었던 것이었다. 혈액을 많이 가지고 있는 간과 같은 조직의 경우는 골수의 공여자인 여성의 유전자형과 피해자의 유전자형이 혼합되어 검출된 것이고 혈액이 소량으로 존재하는 조직 등에서는 피해자의 유전자형만 검출된 것이었다.
피해자는 백혈병이란 불치의 병을 얻었지만 어렵게 병마와 싸우며 골수 제공자에게서 골수이식을 받아 그 치료가 어렵다는 병을 물리치고 정상적인 생활을 한 듯하였다. 진정한 또 하나의 삶을 살아가려 하였지만 운명을 거스를 수는 없었던 모양이다.
박기원 전 국과수 부장 kwpark001@hanmail.net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