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9~2020학년도 기준, 미국 내 중국 유학생의 수는 무려 37만 2000명에 달해 미국 전체 유학생의 35% 비중을 차지하는 최대 고객이었다. 더욱이 이 수는 유학생 수 2위를 기록한 인도(18%) 대비 거의 두 배에 육박하는 비중이었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과 미·중 간 지정학적 갈등 고조의 영향으로 최근 들어와 무려 8만 명(약 14.6% 감소) 이상 유학생 수가 급감했고, 지난 2021~2022학년도 기준 미국 내 체류 중인 중국인 유학생의 수는 단 29만 명에 그쳐, 2010년 이후 첫 감소세를 기록했다.
이 때문에 이 시기 미국 각 대학들은 최대 수입원이었던 중국 유학생 수 급감으로 인한 재정 위기설까지 제기되는 등 중국 학생 유치가 대학 재정 위기를 타파할 최대 관건으로 떠올랐을 정도였다. 이 같은 분위기 속에서 중국 당국이 돌연 유학생 돌려보내기 제스처를 취하면서 미국·영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 등 중국인 유학생 비율이 높은 국가로의 중국인 행렬이 빠르게 증가할 전망이다.
중국 당국이 지난 12월 초부터 방역 정책을 ‘위드코로나’로 전환했고, 지난 8일에는 사실상 해외 각국으로의 여행 자유화까지 선언했다는 점에서 유학생들의 해외 대학 복귀는 시간 문제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는 것. 무엇보다 중국 당국은 그동안 임시로 용인해왔던 유학생들에 대한 각종 특혜를 빠르게 철회하는 등 강제적인 방식을 동원해서라도 해외 유학생들의 조기 복귀를 강행하려는 양상이다.
중국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팬데믹(대유행) 때문에 귀국해 중국에서 온라인으로 학업을 이어가면서 외국대학 학위를 취득한 유학생에게 국유기업 취업 응시 자격을 줬으나, 이제는 이마저도 인정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또, 해당 학위를 각종 거주 서류 증빙 용도로 인정했던 조치도 이미 철회해, 유학생들의 학교 복귀를 강제에 박차를 가했다.
뿐만 아니라, 중국 교육 당국은 자국의 해외 유학생들에게 “이번 학기에 복귀할 수 없다면 다음 학기에라도 돌아가라”고 촉구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등 외신은 전했다. 호주대학연합의 카트리나 잭슨 최고경영자(CEO)는 “중국의 이번 결정이 중국 내에 머무는 4만 명의 중국 유학생들이 호주로 복귀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기대했다.
임지연 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