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인간이 배출하는 온실가스는 화석연료에서 나오는 것만이 전부가 아니다. 의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농축산업에서 나오는 메탄가스다. 특히 소 같은 반추동물에서 나오는 메탄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물론 이산화탄소보다 양은 적지만, 메탄이 이산화탄소보다 수십 배 이상 온실 효과가 강력하기 때문에 생각보다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이다.
하지만 동시에 소는 매우 중요한 가축으로 여러 나라에서 중요한 육류 및 유제품 공급원의 역할을 하고 있다. 축산 농가의 피해가 우려되는 것은 물론 소비자 부담이 매우 커질 수 있어 소 사육을 강력하게 규제할 순 없는 형편이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소 사육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메탄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그런데 사실 소가 직접 메탄가스를 만드는 것은 아니다. 메탄가스의 형태로 날아가는 에너지는 소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소의 위장관에서 음식물을 분해하고 메탄가스를 만드는 것은 메탄 생성균이다. 따라서 워싱턴 주립대학 과학자들은 소의 소화기관과 비슷한 인공 장을 만든 후 메탄 생성균을 억제할 수 있는 다른 세균을 연구했다.
연구팀은 의외의 동물의 대변에서 적당한 후보를 찾아냈다. 바로 캥거루 새끼의 대변에서 분리한 아세트산 생성균이다. 우리에겐 의외로 생각될 수 있지만, 사실 관련 연구를 수행한 과학자들이 볼 때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캥거루는 소와 비슷한 소화 기관을 지니고 있으나 메탄가스를 거의 배출하지 않는 차이점이 있어 과학자들이 이전부터 주목해왔다. 물론 소 대신 캥거루 고기를 먹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지만, 문화적으로 널리 받아들여지기 힘들고 우유를 얻을 수 없어 대신 캥거루의 장내 미생물을 연구한 것이다. 하지만 진화 계통상 멀리 떨어진 캥거루의 장내 미생물을 소에 이식하기가 어려웠다.
이번 연구에서는 캥거루 새끼에서 발견된 아세트산 생성 장내 미생물이 인공 장에서 수개월 동안 성공적으로 메탄 생성균을 대체했다. 메탄 생성균을 완전히 없애지 않더라도 크게 줄일 수만 있다면 온실가스 배출 문제를 상당 부분 해결할 수 있어 주목할 만한 결과다.
고든 정 과학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