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복지단체 NGO는 최근 미국 멤피스 동물원에서 죽은 중국 자이언트 판다 ‘러러’ 사건에 대해 “동물을 윤리적으로 대해야 할 정부 당국이 오히려 이를 정치적으로 악용하고 있는 것은 잘못된 처사”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고 홍콩 매체 홍콩프리프레스(HKFP)는 2일 보도했다.
앞서 중국은 지난 1972년 리처드 닉슨 당시 미 대통령이 방중했을 때 화해와 협력의 의미로 자이언트 판다 두 마리를 선물했다. 이후 판다 개체 수가 줄어 멸종 위기에 처하자 중국은 1982년 판다 선물 외교를 중단했지만, 그 대신 통상 10년 동안 판다를 다른 나라에 보내 판다가 새끼를 낳으면 중국에 돌려보내는 대여(on-loan) 정책을 도입해 사실상의 판다 외교를 지속해오고 있다.
현재도 중국은 총 18개국 22개의 동물원과 연계해 표면상으로는 ‘판다 보존에 관한 연구 협력’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최근 미국에서 23년간 장기 체류했던 판다 ‘러러’가 원인을 특정할 수 없는 이유로 숨을 거두자 미국에서는 중국이 귀여운 판다를 앞세워 자국 내 인권 탄압을 가리는 ‘눈속임 외교’를 중단해야 할 때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제기됐다.
실제로 미 의회에서는 양국 사이에 맺은 판다 새끼 반환 합의를 파기해야 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법안이 발의되기도 했다. 미 공화당 낸시 메이스 하원의원은 “중국 정부가 신장위구르자치구의 인권탄압과 대만 문제를 판다 외교를 통해 가리고 있다”면서 “이러한 눈속임에 속지 말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사실상 중국이 판다 이미지를 인권 탄압의 방패막이로 활용하고 있다는 비판을 공식적으로 제기했던 셈이다. 이 같은 분위기 속에서, 동물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세계적인 동물보호단체 ‘PETA’ 아시아지부 제이슨 베이커 부회장은 “판다는 외교적 목적으로 쉽게 주고받을 수 있는 개체물이 아니다”면서 “그들은 매우 지능적이고 사회적인 동물로, 가족과 친구들과 긴밀한 유대 관계를 형성한 가운데 존재하는 동물이기에 막무가내로 주고받아서는 결코 안 된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최근 미국 동물원에서 죽은 판다 ‘러러’의 사례를 지목해 “1999년 중국에 있는 어미 판다와 강제로 이별한 뒤 미국으로 끌려와 홀로 살아야 했던 러러와 야야를 떠올리면 가슴이 몹시 아프다”면서 “23년 이상 계속된 외지 생활 끝에 육체적, 정신적으로 불완전한 상태에서 죽음에 이르렀을 것”이라고 짐작했다.
그는 또 성명서를 공개하며 “동물들을 인간의 의지대로 가둬 키우지 말고, 최대한 자연상태와 유사한 환경을 조성해 보존해야 한다”고 했다.
임지연 통신원 cci2006@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