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머스크는 대만에 대한 중국의 ‘하나의 중국’이라는 원칙 고수에 대해서도 자신의 시각을 밝혔는데, 그는 “대만 문제에서 중국의 정책은 궁극적으로 통일을 달성하는 것”이라면서 “이는 암묵적으로 해석될 필요는 없지만, 분명히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할 사안”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또 대만에 대한 중국 정부의 통제가 불가피한 것으로 보이냐는 기자의 질문에 “중국의 공식 정책이 대만이 (중국으로) 통합되어야 한다는 것”이라면서 “그들(중국 정부)의 말을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우회적으로 중국을 지지하는 듯한 입장을 밝혔다. 이 같은 머스크의 입장은 앞서 지난해 10월 그가 “대만을 홍콩처럼 중국의 특별행정구역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발언과 일맥하는 부분이다.
이번 인터뷰에서 머스크는 또 중국이 빠른 시일 내에 대만을 장악할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서 “중국의 속뜻을 읽을 필요가 없다. 중국의 원칙은 대만과의 통합이다”고 자신이 보고 있는 중국과 대만 사이의 갈등 양상을 가감없이 내비쳤다.
그러면서도 그는 중국과 대만 양안 사이의 갈등이 글로벌 기업에 악영향을 끼칠 것인지에 대해서는 “중국 경제는 세계 경제와 쌍둥이처럼 결합돼 있다”면서 “실제로는 테슬라보다 다른 글로벌 기업들이 더 많은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의 이 같은 발언은 있은 직후 중국 관영 매체들은 ‘중국은 단 하나의 중국만 있을 뿐’이라면서 ‘대만은 중국 영토의 한 부분으로 양도할 수 없는 부분이라는 것을 이미 여러 차례 분명히 밝혔다’고 양안에 대한 중국의 입장을 공고히 했다.
이에 앞서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4월 7일 정례회의 기자회견에서 “대만의 미래는 조국의 통일에 있으며 대만 동포들의 안녕은 국가 부흥에 달려있다”면서 “평화 통일과 일국양제는 대만의 실제 상황을 충분히 고려, 통일 후 대만의 장기적인 평화와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임지연 통신원 cci2006@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