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홍콩명보는 최근 중국 윈난(雲南)성 이슬람 사원인 모스크에 대한 대대적인 철거 방침이 공개되자 격분한 무슬림들이 대규모 시위를 벌였고 이 과정에서 공안이 출동, 시위대와 격한 충돌이 있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27일 윈난성 위시(玉溪)시 퉁하이(通海)현에서 나자잉 모스크를 강제 철거한다는 소문이 돌자 현지 무슬림들이 시위를 벌였다는 소식이 인터넷에 번졌는데, 이날 일부 시위대는 공안을 공격하거나 모스크 외벽에 세워진 비계를 무너뜨리는 등 격분한 상태였다. 또 일부 무슬림들은 해가 진 후에도 여전히 모스크 문 앞에서 보초를 서고 있을 정도로 공권력과의 충돌과 긴장은 계속되고 있는 양상이다.
강제 철거 소식이 알려진 나자잉 모스크는 600년의 역사를 가진 아라비안 스타일의 것으로 2004년 완공돼 3000명 이상의 무슬림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 모스크다. 이에 앞서, 최근 몇 년간 중국 당국은 중국 본토 전 지역에 종교의 ‘중국화’를 강제하면서 계속 이어져오고 있는 상태다. 특히 중국은 기존 무슬림들의 아라비안 스타일 모스크를 전통적인 중국 스타일로 복원하도록 강제했고, 몇몇 예배가 이뤄지는 사원에서는 외부에서 온 시민이나 외국인, 18세 미만은 입장하기 위해서는 등록을 해야 한다는 등 인적 사항을 정부에 제출해 사실상 종교의 자유를 규제라고 침해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또, 중국은 무슬림들을 위한 모스크를 폐쇄, 철거하거나 예배 금지 조치를 내리면서 이 지역 무슬림들은 최근 집이나 사원에서 비공개로 예배를 볼 수 밖에 없는 처지에 놓였는데 이에 대한 불만이 폭발해 시위로 번졌다. 이에 대해 미국과 유엔 등은 중국이 윈난성과 신장위구루자치구 등에 거주하는 이슬람 소수민족의 종교를 말살하고 인권을 탄압하려 한다고 공개적인 비판의 이어왔을 정도다.
중국 정부의 방침에 반발하는 시위대는 무슬림들이 거주하는 지역 곳곳에서 산발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최근 소셜미디어 트위터 등을 통해 확산된 영상 속 시위대는 헬멧을 쓰고 방패를 든 공안이 모스크 앞에 방어선을 구축, 시위대가 물러서지 않자 한때 후퇴하기도 했다.
현지 시위대와 공안 인력을 충돌과 관련해 퉁하이현 공안국은 시위가 시작된 지 이튿날이었던 지난 28일 저녁, 시위대에게 항복을 촉구하는 통지문을 발행하고 참가자들에 내달 6일 이전에 투항하라는 경고를 발부했다.
한편, 중국 통계에 따르면 신장자치구에는 2만 개 이상의 이슬람 사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더 이상의 구체적인 정보는 없다. 다만 호주 전략 정책 연구소의 2020년 연구에 따르면 신장 지역 900여곳에서 1만 6000개의 이슬람 사원이 이전 3년 동안 일부분 또는 완전히 철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지연 통신원 cci2006@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